| 340 | | - | - &ref 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341 | | - | - &ref 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342 | | - | |
|---|
| 343 | | - | *** ルビ構造 [#g967c67f] |
|---|
| 344 | | - | &ruby(ルビ){インライン要素}; |
|---|
| 345 | | - | 行中で &ruby を書くとインライン要素に対するルビをふることができます。ルビに対応していないブラウザではルビが本文中に ( と ) に囲まれて表示されます。 |
|---|
| 346 | | - | |
|---|
| 347 | | - | - ルビ構造のルビにはインライン要素を記述します。ただし、ルビの特性上、期待通りの表示になるとは限りません。 |
|---|
| 348 | | - | - ルビ構造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349 | | - | - ルビ構造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350 | | - | - ルビ構造をルビ構造の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ネストはできません)。 |
|---|
| 351 | | - | - 注釈内や文字サイズを小さくしている部分での使用は、ルビが判読できなくなるので避けてください。 |
|---|
| 352 | | - | |
|---|
| 353 | | - | *** アンカーの設定 [#b5898e73] |
|---|
| 354 | | - | &aname(アンカー名); |
|---|
| 355 | | - | &aname(アンカー名){インライン要素}; |
|---|
| 356 | | - | 行中で &aname を記述するとリンクのアンカーを設定することができます。リンクの飛び先にしたい位置に記述します。 |
|---|
| 357 | | - | |
|---|
| 358 | | - | - アンカー名は、半角アルファベットから始まる半角アルファベット・数字・ハイフン・アンダースコアからなる文字列を指定します。 |
|---|
| 359 | | - | - アンカー名の中には、全角文字や半角空白文字、半角記号を含めることはできません。 |
|---|
| 360 | | - | - アンカー設定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361 | | - | - アンカー設定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362 | | - | |
|---|
| 363 | | - | *** カウンタ表示 [#jbf0963a] |
|---|
| 364 | | - | &counter; |
|---|
| 365 | | - | &counter(オプション); |
|---|
| 366 | | - | 行中で &counter を記述するとそのページにアクセスした人の数を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367 | | - | |
|---|
| 368 | | - | - &counter には次のオプションを指定できます。オプションを省略した場合はallが指定されたものとみなされます。 |
|---|
| 369 | | - | today |
|---|
| 370 | | - | -- 今日のアクセス数を表示します。 |
|---|
| 371 | | - | - |
|---|
| 372 | | - | yesterday |
|---|
| 373 | | - | -- 昨日のアクセス数を表示します。 |
|---|
| 374 | | - | - |
|---|
| 375 | | - | all |
|---|
| 376 | | - | -- アクセス総数を表示します。 |
|---|
| 377 | | - | - カウンタ表示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378 | | - | - カウンタ表示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379 | | - | |
|---|
| 380 | | - | *** オンライン表示 [#u221cb30] |
|---|
| 381 | | - | &online; |
|---|
| 382 | | - | 行中で &online を記述すると現在アクセス中の人数を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383 | | - | |
|---|
| 384 | | - | - オンライン表示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385 | | - | - オンライン表示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386 | | - | |
|---|
| 387 | | - | ***バージョン表示 [#qc7f937b] |
|---|
| 388 | | - | &version; |
|---|
| 389 | | - | 行中で &version を記述するとPukiPlusのバージョンを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390 | | - | |
|---|
| 391 | | - | - バージョン表示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392 | | - | - バージョン表示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393 | | - | |
|---|
| 394 | | - | *** WikiName [#j5808d05] |
|---|
| 395 | | - | WikiName |
|---|
| 396 | | - | 行中で、1つ以上の大文字→1つ以上の小文字→1つ以上の大文字→1つ以上の小文字の組合わせからなる半角//文字列はWikiNameになります。 |
|---|
| 397 | | - | |
|---|
| 398 | | - | - WikiNameの中には、全角文字や半角空白文字、記号、数字を含めることはできません。 |
|---|
| 399 | | - | - WikiNameは、PukiPlus内のページ名になります。すでに存在するページであればそのページへのリンクが自動的に貼られます。存在しない場合はWikiNameの後ろに?が自動的に付き、そのページを新規作成するためのリンクが貼られます。 |
|---|
| 400 | | - | |
|---|
| 401 | | - | - WikiName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02 | | - | - WikiName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403 | | - | |
|---|
| 404 | | - | *** ページ名 [#sff1fc60] |
|---|
| 405 | | - | [[ぷきうぃき]] |
|---|
| 406 | | - | 行中で [[ と ]] で囲まれた文字列はページ名になります。 |
|---|
| 407 | | - | |
|---|
| 408 | | - | - ページ名の中には、全角文字、記号、数字、半角空白文字を含めることができます。 |
|---|
| 409 | | - | - ページ名の中には、"#&<> を含めることはできません。 |
|---|
| 410 | | - | - すでに存在するページであればそのページへのリンクが自動的に貼られます。存在しない場合はページ名の後ろに?が自動的に付き、そのページを新規作成するためのリンクが貼られます。 |
|---|
| 411 | | - | |
|---|
| 412 | | - | [[ページ名#アンカー名]] |
|---|
| 413 | | - | - ページ名にアンカー名をつけることもできます。 |
|---|
| 414 | | - | |
|---|
| 415 | | - | - ページ名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16 | | - | - ページ名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417 | | - | |
|---|
| 418 | | - | *** InterWiki [#r9416eb3] |
|---|
| 419 | | - | [[InterWikiName:ページ名]] |
|---|
| 420 | | - | 行中のページ名形式の文字列の中で、: で2つの文字列を区切るとInterWikiになります。:の前にはInterWikiNameのページで定義したInterWikiNameを、: の後ろにはページ名を記述します。 |
|---|
| 421 | | - | |
|---|
| 422 | | - | [[InterWikiName:ページ名#アンカー名]] |
|---|
| 423 | | - | - ページ名の後ろにアンカー名をつけることもできます。 |
|---|
| 424 | | - | |
|---|
| 425 | | - | - InterWikiNameの中には、全角文字を含めることができます。 |
|---|
| 426 | | - | - InterWikiNameの中には、半角空白文字を含めるができます。 |
|---|
| 427 | | - | - InterWiki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28 | | - | - InterWiki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429 | | - | |
|---|
| 430 | | - | *** リンク [#i3aed841] |
|---|
| 431 | | - | [[リンク名:URL]] |
|---|
| 432 | | - | 行中のInterWikiNameの形式の文字列の中で、: の前に任意のリンク名を、: の後ろにURLを記述すると、そのリンク名でURLに対するリンクを貼ることができます。 |
|---|
| 433 | | - | |
|---|
| 434 | | - | - リンク名には、全角文字や半角空白文字を含めることができます。メールアドレスを指定する場合は、mailto:を書かずにアドレスだけを記述します。 |
|---|
| 435 | | - | |
|---|
| 436 | | - | http://www.example.com/ |
|---|
| 437 | | - | https://www.example.com/ |
|---|
| 438 | | - | ftp://ftp.example.com/ |
|---|
| 439 | | - | news://news.example.com/ |
|---|
| 440 | | - | foo@example.com |
|---|
| 441 | | - | - 行中に直接、URLを記述した場合は自動的にそのURLに対するリンクが貼られます。 |
|---|
| 442 | | - | |
|---|
| 443 | | - | - 記述したURLが画像ファイルである場合は、その画像を表示します。 |
|---|
| 444 | | - | |
|---|
| 445 | | - | - リンク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46 | | - | - リンク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447 | | - | |
|---|
| 448 | | - | *** エイリアス [#ddcd9396] |
|---|
| 449 | | - | [[エイリアス名>ページ名]] |
|---|
| 450 | | - | 行中のページ名形式の文字列の中で、> で2つの文字列を区切るとエイリアスになります。 > の前にはエイリアス名を、> の後ろにはページ名を記述します。 |
|---|
| 451 | | - | |
|---|
| 452 | | - | エイリアスはPukiPlus内のページ名とは別のエイリアス名で、指定したページへのリンクを貼ります。 |
|---|
| 453 | | - | |
|---|
| 454 | | - | [[エイリアス名>ページ名#アンカー名]] |
|---|
| 455 | | - | [[エイリアス名>#アンカー名]] |
|---|
| 456 | | - | - ページ名にアンカー名を付け加えてアンカーへのリンクを貼ることができます。ページ名とアンカー名の間には#をつけます。カレントページのアンカーへリンクを貼る場合はページ名を省略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457 | | - | |
|---|
| 458 | | - | [[エイリアス名>http://www.example.com/]] |
|---|
| 459 | | - | [[エイリアス名>https://www.example.com/]] |
|---|
| 460 | | - | [[エイリアス名>ftp://ftp.example.com/]] |
|---|
| 461 | | - | [[エイリアス名>news://news.example.com/]] |
|---|
| 462 | | - | [[エイリアス名>foo@example.com]] |
|---|
| 463 | | - | [[エイリアス名>InterWikiName:ページ名]] |
|---|
| 464 | | - | [[エイリアス名>InterWikiName:ページ名#アンカー名]] |
|---|
| 465 | | - | - エイリアスをURLやInterWikiと組み合わせることもできます。 |
|---|
| 466 | | - | |
|---|
| 467 | | - | [[エイリアス名:http://www.example.com/]] |
|---|
| 468 | | - | [[エイリアス名:https://www.example.com/]] |
|---|
| 469 | | - | [[エイリアス名:ftp://ftp.example.com/]] |
|---|
| 470 | | - | [[エイリアス名:news://news.example.com/]] |
|---|
| 471 | | - | [[エイリアス名:foo@example.com]] |
|---|
| 472 | | - | - URLを指定する場合は、>の代わりに:も使用できます。 |
|---|
| 473 | | - | |
|---|
| 474 | | - | - エイリアス名の中には、全角文字を含めることができます。 |
|---|
| 475 | | - | - エイリアス名の中には、半角空白文字を含めることができます。 |
|---|
| 476 | | - | - 階層化されたページでは、ページ名を相対指定することができます。 |
|---|
| 477 | | - | - エイリアス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78 | | - | - エイリアス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できます。 |
|---|
| 479 | | - | |
|---|
| 480 | | - | *** タブコード [#of9597b7] |
|---|
| 481 | | - | &t; |
|---|
| 482 | | - | 行中で &t; と書くと、タブコードに置換されます。 |
|---|
| 483 | | - | |
|---|
| 484 | | - | 通常、フォーム内ではキーボードからタブコードを直接入力できない((クリップボードからの貼り付けの場合はタブコードを直接入力できます。))ので、タブコードを入力したい位置に&t;を記述すると、保存時にタブコードに置換します。 |
|---|
| 485 | | - | |
|---|
| 486 | | - | - タブコードは、記事が書き込まれるときに置換されて記録されます。 |
|---|
| 487 | | - | - タブコード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88 | | - | - タブコード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489 | | - | |
|---|
| 490 | | - | *** ページ名置換文字 [#c97eafbd] |
|---|
| 491 | | - | &page; |
|---|
| 492 | | - | &fpage; |
|---|
| 493 | | - | 行中で &page; 及び &fpage; と書くと、編集中のページ名に置換されます。ページ名が階層化されたページで「hogehoge/hoge」となっている場合、 &page; は「hoge」に、 &fpage; は「hogehoge/hoge」に置換されます。階層化されていないページでは、 &page; も &fpage; も同じになります。 |
|---|
| 494 | | - | |
|---|
| 495 | | - | - ページ名置換文字は、記事が書き込まれるときに置換されて記録されます。 |
|---|
| 496 | | - | - ページ名置換文字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497 | | - | - ページ名置換文字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498 | | - | |
|---|
| 499 | | - | *** 日時置換文字 [#k52b546f] |
|---|
| 500 | | - | &date; |
|---|
| 501 | | - | &time; |
|---|
| 502 | | - | &now; |
|---|
| 503 | | - | - 行中で &date; と書くと、更新時の日付に置換されます |
|---|
| 504 | | - | - 行中で &time; と書くと、更新時の時刻に置換されます |
|---|
| 505 | | - | - 行中で &now; と書くと、更新時の日時に置換されます |
|---|
| 506 | | - | |
|---|
| 507 | | - | date? |
|---|
| 508 | | - | time? |
|---|
| 509 | | - | now? |
|---|
| 510 | | - | - PukiWiki 1.3系との後方互換性のために、 date?、 time?、 now? についても使用できるようにしてあります。 |
|---|
| 511 | | - | |
|---|
| 512 | | - | - &date;、 &time;、 &now;は、記事が書き込まれるときに置換されて記録されます。 |
|---|
| 513 | | - | - &date;、 &time;、 &now;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514 | | - | - &date;、 &time;、 &now;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515 | | - | |
|---|
| 516 | | - | &_date; |
|---|
| 517 | | - | &_time; |
|---|
| 518 | | - | &_now; |
|---|
| 519 | | - | - %%行中で &_date; と書くと、表示時の日付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20 | | - | - %%行中で &_time; と書くと、表示時の時刻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21 | | - | - %%行中で &_now; と書くと、表示時の日時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22 | | - | |
|---|
| 523 | | - | &lastmod; |
|---|
| 524 | | - | &lastmod(ページ名); |
|---|
| 525 | | - | - 行中で &lastmod; と書くと、そのページの最終更新日時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26 | | - | - ページ名を指定すると、その指定されたページの最終更新日時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27 | | - | |
|---|
| 528 | | - | - %%&_date;、 &_time;、 &_now;、%% &lastmod;は、記事が表示されるとき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29 | | - | - %%&_date;、 &_time;、 &_now;、%% &lastmod;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530 | | - | - %%&_date;、 &_time;、 &_now;、%% &lastmod;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531 | | - | |
|---|
| 532 | | - | *** 文字参照文字 [#ecefc654] |
|---|
| 533 | | - | 文字参照は、SGMLで定義されている文字参照文字(&copy;や&reg;など)のほか、下記の独自の文字参照文字が使用できます。 |
|---|
| 534 | | - | &heart; |
|---|
| 535 | | - | ⌣ |
|---|
| 536 | | - | &bigsmile; |
|---|
| 537 | | - | &huh; |
|---|
| 538 | | - | &oh; |
|---|
| 539 | | - | &wink; |
|---|
| 540 | | - | &sad; |
|---|
| 541 | | - | &worried; |
|---|
| 542 | | - | - 行中で&heart;と書くと、ハートマーク &heart;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3 | | - | - 行中で&smile;と書くと、 ⌣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4 | | - | - 行中で&bigsmile;と書くと、 &bigsmile;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5 | | - | - 行中で&huh;と書くと、 &huh;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6 | | - | - 行中で&oh;と書くと、 &oh;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7 | | - | - 行中で&wink;と書くと、 &wink;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8 | | - | - 行中で&sad;と書くと、 &sad;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49 | | - | - 行中で&worried;と書くと、 &worried; に置換されて出力されます。 |
|---|
| 550 | | - | |
|---|
| 551 | | - | - 文字参照文字は、表示されるときに置換されます。 |
|---|
| 552 | | - | - 文字参照文字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553 | | - | - 文字参照文字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554 | | - | |
|---|
| 555 | | - | *** 数値参照文字 [#o4593623] |
|---|
| 556 | | - | 
進数; |
|---|
| 557 | | - | 進数; |
|---|
| 558 | | - | 行中で &# と ; の間に10進数を、&#x と ;の間に16進数を書くと、Unicodeを数値参照して表示します。キーボードから直接入力できない文字やJIS第3水準・第4水準の文字などの表示に使用します。たとえば、内田百&#38290;と入力すると、内田百閒と表示されます。 |
|---|
| 559 | | - | |
|---|
| 560 | | - | - 数値参照文字は、表示されるときに置換されます。 |
|---|
| 561 | | - | - 数値参照文字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
|---|
| 562 | | - | - 数値参照文字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はできません。 |
|---|
| 563 | | - | - 16進数は半角小文字で指定する必要があります(XHTML 1.0 第2版から小文字に限定されました)。 |
|---|
| 564 | | - | |
|---|
| 565 | | - | ** その他 [#z3209590] |
|---|
| 566 | | - | |
|---|
| 567 | | - | *** コメント行 [#ja47717e] |
|---|
| 568 | | - | // コメント |
|---|
| 569 | | - | 行頭で // を指定すると、コメント行になります。コメント行は出力されない行です。 |
|---|
| 570 | | - | |
|---|
| 571 | | - | - コメント行は、他の要素と無関係に行単位でどの位置にも記述できます。 |
|---|
| 572 | | - | - コメント行は、前後の他の要素に何ら影響を及ぼしません。 |
|---|
| 573 | | - | }}} |
|---|
| 574 | | - | |
|---|
| 575 | | - | #multilang(en){{{ |
|---|
| 576 | | - | inline Elements [#j9a493a1] |
|---|
| 577 | | - | In the following table you can see how to use the inline text elements of PukiPlus |
|---|
| 578 | | - | |
|---|
| 579 | | - | |''Format example''|''Formatting code''|''Comment''|h |
|---|
| 580 | | - | |''Emphasised text''|''Emphasised text''|Put the text between two single quotes.| |
|---|
| 581 | | - | |'''Italic text'''|'''Italic text'''|Put the text between three single quotes.| |
|---|
| 582 | | - | |Text with&br;a break|Text with &br; a break|| |
|---|
| 583 | | - | |&size(24){Text in font size 24};| &size(24){Text in font size 24};|| |
|---|
| 584 | | - | |&color(purple){Purple text};| &color(purple){Purple text};|| |
|---|
| 585 | | - | |&color(#123456){Colored text};| &color(#123456){Colored text};|| |
|---|
| 586 | | - | |&color(red,yellow){Red text with yellow backbround};| &color(red,yellow){Red text with yellow background};|| |
|---|
| 587 | | - | |%%Strikethrough text%%| %%Strikethrough text%%|| |
|---|
| 588 | | - | |((This is the footnote's text))|((This is the footnote's text))|This inserts a footnote with the given text at the bottom of the page.| |
|---|
| 589 | | - | |&ref(http://www.example.com);|&ref(http://www.example.com);|This inserts a reference.| |
|---|
| 590 | | - | |&aname(Anchor);|&aname(Anchor);|This inserts an invisible anchor for hyperlinking.| |
|---|
| 591 | | - | |&counter;|&counter;|This inserts a counter. What does it count, in fact?| |
|---|
| 592 | | - | |&online;|&online;|What does this do, in fact?| |
|---|
| 593 | | - | |&version;|&version;|I guess this inserts the current version number of PukiPlus itself?| |
|---|
| 594 | | - | |WikiName|WikiName|This create a link to another pages on the same PukiPlus site.| |
|---|
| 595 | | - | |[[BracketName]]|[[BracketName]]|This creates a link to another page on a same PukiPlus site.| |
|---|
| 596 | | - | |[[External link:http://www.example.com]]|[[External link:http://www.example.com]]|This creates links to pages on other web sites.| |
|---|
| 597 | | - | |[[InterWikiLink:page name]]|[[InterWikiLink:page name]]|This creates a link to another Wiki, right?| |
|---|
| 598 | | - | |Paragraph| ~Paragraph|| |
|---|
| 599 | | - | |Inline text&br;Inline text| Inline text&br;Inline text|&br; is replaced with a line break.| |
|---|
| 600 | | - | |Inline text~&br;#plug-in| Inline text~&br;#plug-in|The ~, followed by a line break works as an escape character that disables the # character, which normally activates a plugin.| |
|---|
| 601 | | - | |
|---|
| 602 | | - | &br; |
|---|
| 603 | | - | |
|---|
| 604 | | - | *Block Elements [#md62854c] |
|---|
| 605 | | - | ~In what follows, examples for the block elements will be given. |
|---|
| 606 | | - | First, you will see the example as it should be entered into PukiPlus,and |
|---|
| 607 | | - | next is the result you'll get. |
|---|
| 608 | | - | |
|---|
| 609 | | - | **Preformatted text [#pe8342c2] |
|---|
| 610 | | - | Preformatted text. There is a space in front of this text. |
|---|
| 611 | | - | |
|---|
| 612 | | - | Preformatted text. There is a space in front of this text. |
|---|
| 613 | | - | &br; |
|---|
| 614 | | - | |
|---|
| 615 | | - | **Headings [#s0a8a979] |
|---|
| 616 | | - | *Heading level 1 |
|---|
| 617 | | - | **Heading level 2 |
|---|
| 618 | | - | ***Heading level 3 |
|---|
| 619 | | - | There are no examples of how the heading looks like here, |
|---|
| 620 | | - | because they would disturb the structure of this document. |
|---|
| 621 | | - | But take a look at the headings above and below to see how |
|---|
| 622 | | - | it might look. |
|---|
| 623 | | - | &br; |
|---|
| 624 | | - | |
|---|
| 625 | | - | **Paragraphs and the tilde as and escape character [#xb454a75] |
|---|
| 626 | | - | ~Paragraph |
|---|
| 627 | | - | ~*This will not be displayed as a heading |
|---|
| 628 | | - | ~Paragraph |
|---|
| 629 | | - | ~*This will not be displayed as a heading |
|---|
| 630 | | - | Line break escape example~ |
|---|
| 631 | | - | #comment (disables first letter formatting rule, which is used to activate plug-ins.) |
|---|
| 632 | | - | Line break escape example~ |
|---|
| 633 | | - | #comment (disables first letter formatting rule, which is used to activate plug-ins.) |
|---|
| 634 | | - | &br; |
|---|
| 635 | | - | **Quotes [#i7535ee4] |
|---|
| 636 | | - | >Quote Level 1 |
|---|
| 637 | | - | >>Quote Level 2 |
|---|
| 638 | | - | >>>Quote Level 3 |
|---|
| 639 | | - | >Quote Level 1 |
|---|
| 640 | | - | >>Quote Level 2 |
|---|
| 641 | | - | >>>Quote Level 3 |
|---|
| 642 | | - | &br; |
|---|
| 643 | | - | **Unordered lists [#df3c4d15] |
|---|
| 644 | | - | -Unordered list level 1 |
|---|
| 645 | | - | --Unordered list level 2 |
|---|
| 646 | | - | ---Unordered list level 3 |
|---|
| 647 | | - | -Unordered list level 1 |
|---|
| 648 | | - | --Unordered list level 2 |
|---|
| 649 | | - | ---Unordered list level 3 |
|---|
| 650 | | - | &br; |
|---|
| 651 | | - | **Ordered lists [#i8116c27] |
|---|
| 652 | | - | +Ordered list level 1 |
|---|
| 653 | | - | ++Ordered list level 2 |
|---|
| 654 | | - | +++Ordered list level 3 |
|---|
| 655 | | - | +Ordered list level 1 |
|---|
| 656 | | - | ++Ordered list level 2 |
|---|
| 657 | | - | +++Ordered list level 3 |
|---|
| 658 | | - | &br; |
|---|
| 659 | | - | **Definition lists [#u12979ea] |
|---|
| 660 | | - | :Definition|Description |
|---|
| 661 | | - | :Definition|Description |
|---|
| 662 | | - | &br; |
|---|
| 663 | | - | **Comments [#mbb18dc1] |
|---|
| 664 | | - | A comment is hidden here: |
|---|
| 665 | | - | //Comment |
|---|
| 666 | | - | A comment is hidden here: |
|---|
| 667 | | - | //Comment |
|---|
| 668 | | - | &br; |
|---|
| 669 | | - | **Horizontal Rule [#f526230c] |
|---|
| 670 | | - | ---- |
|---|
| 671 | | - | ---- |
|---|
| 672 | | - | **Table [#gc6ec478] |
|---|
| 673 | | - | *** Simple [#tb82292a] |
|---|
| 674 | | - | |aaa|bbb|ccc| |
|---|
| 675 | | - | |111|222|333| |
|---|
| 676 | | - | |aaa|bbb|ccc| |
|---|
| 677 | | - | |111|222|333| |
|---|
| 678 | | - | *** Advanced [#fc2e2f01] |
|---|
| 679 | | - | |RIGHT:100|CENTER:|SIZE(20)|c -------------- format definition line |
|---|
| 680 | | - | |~Header|Header2|Header3|h ----------------- header line |
|---|
| 681 | | - | |CENTER:lowspan|COLOR(red):bbb|ccc| |
|---|
| 682 | | - | |~|222|COLOR(#ff0000):BGCOLOR(yellow):333| |
|---|
| 683 | | - | |footer|>|CENTER:colspan|f ----------------- footer line |
|---|
| 684 | | - | |
|---|
| 685 | | - | |RIGHT:100|CENTER:|SIZE(20)|c |
|---|
| 686 | | - | |~Header|Header2|Header3|h |
|---|
| 687 | | - | |CENTER:lowspan|COLOR(red):bbb|ccc| |
|---|
| 688 | | - | |~|222|COLOR(#ff0000):BGCOLOR(yellow):333| |
|---|
| 689 | | - | |footer|>|CENTER:colspan|f |
|---|
| 690 | | - | |
|---|
| 691 | | - | |
|---|
| 692 | | - | **CSV Table [#w5940d9b] |
|---|
| 693 | | - | ,aaa,bbb,ccc |
|---|
| 694 | | - | ,111,222,333 |
|---|
| 695 | | - | ,aaa,bbb,ccc |
|---|
| 696 | | - | ,111,222,333 |
|---|
| 697 | | - | |
|---|
| 698 | | - | //**Plug-ins |
|---|
| 699 | | - | // #contents |
|---|
| 700 | | - | // (This is the table of contents plugin) |
|---|
| 701 | | - | // |
|---|
| 702 | | - | //#contents |
|---|
| 703 | | - | //(This is the table of contents plugin) |
|---|
| 704 | | - | // The above does not work? |
|---|
| 705 | | - | |
|---|
| 706 | | - | *Special entities : [#f2d6a870] |
|---|
| 707 | | - | // These expressions do not work with the default settings. |
|---|
| 708 | | - | // See pukiwiki.ini.php and default.ini.php. |
|---|
| 709 | | - | //|FormattingSandbox|&page;|This one doesn't seem to work?| |
|---|
| 710 | | - | //|2003-10-28|&date;|This one doesn't seem to work?| |
|---|
| 711 | | - | //|03:33:43|&time;|This one doesn't seem to work?| |
|---|
| 712 | | - | //|2003-10-28 (火) 03:33:43|&now;|This one doesn't seem to work?| |
|---|
| 713 | | - | //|2003-10-15|date ?| This one is replaced when editing is finished.| |
|---|
| 714 | | - | //|12:35:09|time ?| This one is replaced when editing is finished.| |
|---|
| 715 | | - | //|2003-10-15 (水) 12:35:09|now ?| This one is replaced when editing is finished.| |
|---|
| 716 | | - | |
|---|
| 717 | | - | |''Special entity''|''Code''|''Comments''|h |
|---|
| 718 | | - | |&heart;|&heart;|| |
|---|
| 719 | | - | |©|&copy;|| |
|---|
| 720 | | - | |®|&reg;|| |
|---|
| 721 | | - | |™|&trade;|| |
|---|
| 722 | | - | |²|&sup2;|| |
|---|
| 723 | | - | |³|&sup3;|| |
|---|
| 724 | | - | | |&nbsp;|You may not be able to see it,&br;but there is a non-breaking space in the first column. &br; It prevents a line from being broken at that point.| |
|---|
| 725 | | - | | |&#10;|You can define any unicode character up to #32000 using this code. Please note that you need a font that supports the character, or you will not be able to see it.| |
|---|
| 726 | | - | |世|&#19990;|You can use characters from all over the world!| |
|---|
| 727 | | - | |♂|&#9794;|It is a man's world.| |
|---|
| 728 | | - | |☿|&#9792;|But it would be nothing without a woman.| |
|---|
| 729 | | - | |∞|&#8734;|We could go on like this forever...| |
|---|
| 730 | | - | |Ω|&#937;|But here it must end.| |
|---|
| 731 | | - | |
|---|
| 732 | | - | &br; |
|---|
| 733 | | - | |
|---|
| 734 | | - | *Nesting Elements [#t7cdd4d2] |
|---|
| 735 | | - | **Paragraph Element-Emphasize Element [#l4ed8fbd] |
|---|
| 736 | | - | ~This is the paragraph, which is the parent element that contains emphasized text. |
|---|
| 737 | | - | ''This is the emphasized text, that is the child element of the paragraph element.'' |
|---|
| 738 | | - | |
|---|
| 739 | | - | ~This is the paragraph, which is the parent element that contains emphasized text. |
|---|
| 740 | | - | ''This is the emphasized text, that is the child element of the paragraph element.'' |
|---|
| 741 | | - | |
|---|
| 742 | | - | **Quotation Element-List Element [#le7813b4] |
|---|
| 743 | | - | Level[0] |
|---|
| 744 | | - | >Quotation Level[1]AAA |
|---|
| 745 | | - | ~Quotation Level[1]BBB |
|---|
| 746 | | - | >>Quotation Level[2]AAA |
|---|
| 747 | | - | ~Quotation Level[2]BBB |
|---|
| 748 | | - | >>>Quotation Level[3] |
|---|
| 749 | | - | -Child Element-List Level[1] |
|---|
| 750 | | - | |TABLE|ELEMENT|NEXT|to|the Inline|element|in a list| |
|---|
| 751 | | - | --Child Element-List Level[2] |
|---|
| 752 | | - | &br;Line Break in a Element |
|---|
| 753 | | - | ---Child Element-List Level[3] |
|---|
| 754 | | - | --Child Element-List Level[2] |
|---|
| 755 | | - | ---Child Element-List Level[3] |
|---|
| 756 | | - | <<Quotation Level[1] |
|---|
| 757 | | - | >>Quotation Level[2] |
|---|
| 758 | | - | <<Get out of the Quotation Level2 Element |
|---|
| 759 | | - | >>>Quotation Level[3]AAA |
|---|
| 760 | | - | >>>Quotation Level[3]BBB |
|---|
| 761 | | - | -Child Element-List Level[1] |
|---|
| 762 | | - | --Child Element-List Level[2] |
|---|
| 763 | | - | ---Child Element-List Level[3] |
|---|
| 764 | | - | |
|---|
| 765 | | - | Level[0] |
|---|
| 766 | | - | >Quotation Level[1]AAA |
|---|
| 767 | | - | ~Quotation Level[1]BBB |
|---|
| 768 | | - | >>Quotation Level[2]AAA |
|---|
| 769 | | - | ~Quotation Level[2]BBB |
|---|
| 770 | | - | >>>Quotation Level[3] |
|---|
| 771 | | - | -Child Element-List Level[1] |
|---|
| 772 | | - | |TABLE|ELEMENT|NEXT|to|the Inline|element|in a list| |
|---|
| 773 | | - | --Child Element-List Level[2] |
|---|
| 774 | | - | &br;Line Break in a Element |
|---|
| 775 | | - | ---Child Element-List Level[3] |
|---|
| 776 | | - | --Child Element-List Level[2] |
|---|
| 777 | | - | ---Child Element-List Level[3] |
|---|
| 778 | | - | <<Quotation Level[1] |
|---|
| 779 | | - | >>Quotation Level[2] |
|---|
| 780 | | - | <<Get out of the Quotation Level2 Element |
|---|
| 781 | | - | >>>Quotation Level[3]AAA |
|---|
| 782 | | - | >>>Quotation Level[3]BBB |
|---|
| 783 | | - | -Child Element-List Level[1] |
|---|
| 784 | | - | --Child Element-List Level[2] |
|---|
| 785 | | - | ---Child Element-List Level[3] |
|---|
| 786 | | - | |
|---|
| 787 | | - | This section needs to be brushed up. |
|---|
| 788 | | - | }}} |
|---|
| 789 | | - | |
|---|
| 790 | | - | #multilang(zh_TW){{{ |
|---|
| 791 | | - | TITLE:寫作語法 |
|---|
| 792 | | - | #norelated |
|---|
| 793 | | - | *寫作語法 [#rdd024f1] |
|---|
| 794 | | - | 底下是 PukiPlus 的寫作語法,HTML 的標籤語法目前並不支援 |
|---|
| 795 | | - | #contents |
|---|
| 796 | | - | |
|---|
| 797 | | - | **文字的裝飾 [#t8671c1c] |
|---|
| 798 | | - | ''粗體字'' |
|---|
| 799 | | - | ''粗體字'' |
|---|
| 800 | | - | '''斜體字''' |
|---|
| 801 | | - | '''斜體字''' |
|---|
| 802 | | - | %%刪除線%% |
|---|
| 803 | | - | %%刪除線%% |
|---|
| 804 | | - | ((註解)) |
|---|
| 805 | | - | ((註解)) |
|---|
| 806 | | - | COLOR(#rrggbb){文字變顏色的} |
|---|
| 807 | | - | COLOR(red){文字變成紅色的} |
|---|
| 808 | | - | SIZE(n){文字的大小} |
|---|
| 809 | | - | SIZE(36){文字的大小,36} |
|---|
| 810 | | - | |
|---|
| 811 | | - | **文字的對齊 [#t687ba69] |
|---|
| 812 | | - | CENTER:置中對齊 |
|---|
| 813 | | - | CENTER:置中對齊 |
|---|
| 814 | | - | |
|---|
| 815 | | - | LEFT:靠左對齊 |
|---|
| 816 | | - | LEFT:靠左對齊 |
|---|
| 817 | | - | |
|---|
| 818 | | - | RIGHT:靠右對齊 |
|---|
| 819 | | - | RIGHT:靠右對齊 |
|---|
| 820 | | - | **圖片的顯示 [#pf2a1858] |
|---|
| 821 | | - | #img(圖片的URL,left) |
|---|
| 822 | | - | #img(http://pukiwiki.idv.tw/image/noIE.png,left) |
|---|
| 823 | | - | |
|---|
| 824 | | - | #img(圖片的URL,right) |
|---|
| 825 | | - | #img(http://pukiwiki.idv.tw/image/noIE.png,right) |
|---|
| 826 | | - | |
|---|
| 827 | | - | #img(,clear) |
|---|
| 828 | | - | #img(,clear) |
|---|
| 829 | | - | |
|---|
| 830 | | - | **附件的處理 [#jd0769f1] |
|---|
| 831 | | - | #attach |
|---|
| 832 | | - | #attach |
|---|
| 833 | | - | |
|---|
| 834 | | - | #ref(附件的名稱) |
|---|
| 835 | | - | #ref(附件的名稱) |
|---|
| 836 | | - | |
|---|
| 837 | | - | #ref(附件的名稱,center) |
|---|
| 838 | | - | #ref(附件的名稱,center) |
|---|
| 839 | | - | |
|---|
| 840 | | - | #ref(附件的名稱,right) |
|---|
| 841 | | - | #ref(附件的名稱,right) |
|---|
| 842 | | - | |
|---|
| 843 | | - | #ref(附件的名稱,left) |
|---|
| 844 | | - | #ref(附件的名稱,left) |
|---|
| 845 | | - | |
|---|
| 846 | | - | #ref(附件的名稱,right,around) |
|---|
| 847 | | - | #ref(附件的名稱,right,around) |
|---|
| 848 | | - | |
|---|
| 849 | | - | #ref(附件的名稱,left,around) |
|---|
| 850 | | - | #ref(附件的名稱,left,around) |
|---|
| 851 | | - | |
|---|
| 852 | | - | 預設為 left |
|---|
| 853 | | - | |
|---|
| 854 | | - | **標題列 [#ae394cd4] |
|---|
| 855 | | - | *H1 |
|---|
| 856 | | - | **H2 |
|---|
| 857 | | - | ***H3 |
|---|
| 858 | | - | |
|---|
| 859 | | - | #contents |
|---|
| 860 | | - | 製作目?索引 |
|---|
| 861 | | - | |
|---|
| 862 | | - | **表格 [#k4d74a09] |
|---|
| 863 | | - | |''Category:A''|''Category:B''|''Category:C''| |
|---|
| 864 | | - | |Objective|for AI|Other| |
|---|
| 865 | | - | |Java|LISP|Assembla| |
|---|
| 866 | | - | |
|---|
| 867 | | - | |''Category:A''|''Category:B''|''Category:C''| |
|---|
| 868 | | - | |Objective|for AI|Other| |
|---|
| 869 | | - | |Java|LISP|Assembla| |
|---|
| 870 | | - | |
|---|
| 871 | | - | 表格可搭配 CENTER: RIGHT: 等屬性來使用 |
|---|
| 872 | | - | |
|---|
| 873 | | - | |左左左左左|中中中中中|右右右右右| |
|---|
| 874 | | - | |左|CENTER:中|RIGHT:右| |
|---|
| 875 | | - | |RIGHT:右|左|CENTER:中| |
|---|
| 876 | | - | |
|---|
| 877 | | - | |左左左左左|中中中中中|右右右右右| |
|---|
| 878 | | - | |左|CENTER:中|RIGHT:右| |
|---|
| 879 | | - | |RIGHT:右|左|CENTER:中| |
|---|
| 880 | | - | |
|---|
| 881 | | - | **評論 [#r3d61791] |
|---|
| 882 | | - | #comment |
|---|
| 883 | | - | |
|---|
| 884 | | - | **文章 [#w671f0f4] |
|---|
| 885 | | - | #article |
|---|
| 886 | | - | |
|---|
| 887 | | - | **備忘 [#pe09b1d5] |
|---|
| 888 | | - | #memo |
|---|
| 889 | | - | |
|---|
| 890 | | - | **投票 [#cc88f66a] |
|---|
| 891 | | - | #vote(選項1,選項2,選項3) |
|---|
| 892 | | - | #vote(選項1[24],選項2[5],選項3[5]) |
|---|
| 893 | | - | |
|---|
| 894 | | - | **語法的原型 [#lfec47f1] |
|---|
| 895 | | - | 開頭空白則表示該行文字不會被寫作語法所轉換 |
|---|
| 896 | | - | |
|---|
| 897 | | - | **條列項目 [#s0c6a5e1] |
|---|
| 898 | | - | -第一層 |
|---|
| 899 | | - | --第二層 |
|---|
| 900 | | - | ---第三層 |
|---|
| 901 | | - | -第一層 |
|---|
| 902 | | - | --第二層 |
|---|
| 903 | | - | ---第三層 |
|---|
| 904 | | - | |
|---|
| 905 | | - | + |
|---|
| 906 | | - | ++ |
|---|
| 907 | | - | +++ |
|---|
| 908 | | - | +數字1 |
|---|
| 909 | | - | ++數字2 |
|---|
| 910 | | - | +++數字3 |
|---|
| 911 | | - | |
|---|
| 912 | | - | :用語1|更多的解?1 |
|---|
| 913 | | - | :用語1|更多的解?1 |
|---|
| 914 | | - | |
|---|
| 915 | | - | **引用文字 [#x6173bba] |
|---|
| 916 | | - | > |
|---|
| 917 | | - | > 這是引用文字 |
|---|
| 918 | | - | |
|---|
| 919 | | - | **水平線 [#f7e539c4] |
|---|
| 920 | | - | ---- |
|---|
| 921 | | - | ---- |
|---|
| 922 | | - | |
|---|
| 923 | | - | **換行、換段落 [#v8fc71ef] |
|---|
| 924 | | - | hoge~ 換行 |
|---|
| 925 | | - | hoge~ |
|---|
| 926 | | - | |
|---|
| 927 | | - | ~hoge 換段落 |
|---|
| 928 | | - | ~hoge |
|---|
| 929 | | - | |
|---|
| 930 | | - | **連結 [#h2552195] |
|---|
| 931 | | - | (WikiName) |
|---|
| 932 | | - | PukiPlus |
|---|
| 933 | | - | PukiPlus |
|---|
| 934 | | - | |
|---|
| 935 | | - | (BracketName) |
|---|
| 936 | | - | [[SandBox]] |
|---|
| 937 | | - | [[SandBox]] |
|---|
| 938 | | - | |
|---|
| 939 | | - | [[測試區]] |
|---|
| 940 | | - | [[測試區]] |
|---|
| 941 | | - | |
|---|
| 942 | | - | [[http://pukiwiki.idv.tw/image/pukiwikiorg.png>FrontPage]] |
|---|
| 943 | | - | [[http://pukiwiki.idv.tw/image/pukiwikiorg.png>FrontPage]] |
|---|
| 944 | | - | |
|---|
| 945 | | - | (InterWiki) |
|---|
| 946 | | - | [[PukiPlus:FrontPage]] |
|---|
| 947 | | - | [[PukiPlus:FrontPage]] |
|---|
| 948 | | - | |
|---|
| 949 | | - | http://pukiplus.sourceforge.net/ |
|---|
| 950 | | - | webmaster@pukiplus.sourceforge.net |
|---|
| 951 | | - | http://pukiplus.sourceforge.net/ |
|---|
| 952 | | - | webmaster@pukiplus.sourceforge.net |
|---|
| 953 | | - | |
|---|
| 954 | | - | [[PukiPlus:http://pukiplus.sourceforge.net/]] |
|---|
| 955 | | - | [[PukiPlus:http://pukiplus.sourceforge.net/]] |
|---|
| 956 | | - | |
|---|
| 957 | | - | [[PukiPlus>http://pukiplus.sourceforge.net/]] |
|---|
| 958 | | - | [[PukiPlus>http://pukiplus.sourceforge.net/]] |
|---|
| 959 | | - | |
|---|
| 960 | | - | **註解用的符號 [#v7d6811d] |
|---|
| 961 | | - | 開頭以 // 表示的為註解用的行 |
|---|
| 962 | | - | // 這行是註解,看不到的 |
|---|
| 963 | | - | // 這行是註解,看不到的 |
|---|
| 964 | | - | |
|---|
| 965 | | - | **時間、日期的轉換 [#zb05f2bc] |
|---|
| 966 | | - | date? |
|---|
| 967 | | - | 2003-09-17 |
|---|
| 968 | | - | |
|---|
| 969 | | - | time? |
|---|
| 970 | | - | 15:40:03 |
|---|
| 971 | | - | |
|---|
| 972 | | - | now? |
|---|
| 973 | | - | 2003-09-17 (Wed) 15:40:03 |
|---|
| 974 | | - | |
|---|
| 975 | | - | **其他 [#ra9c73a4] |
|---|
| 976 | | - | #related |
|---|
| 977 | | - | #related |
|---|
| 978 | | - | |
|---|
| 979 | | - | #norelated |
|---|
| 980 | | - | #norelated |
|---|
| 981 | | - | |
|---|
| 982 | | - | #calendar_read(200309) |
|---|
| 983 | | - | #calendar_read(200309) |
|---|
| 984 | | - | |
|---|
| 985 | | - | #calendar_edit(200309) |
|---|
| 986 | | - | #calendar_edit(200309) |
|---|
| 987 | | - | |
|---|
| 988 | | - | #calendar2(off) |
|---|
| 989 | | - | #calendar2(off) |
|---|
| 990 | | - | |
|---|
| 991 | | - | **情境圖示 [#ic468894] |
|---|
| 992 | | - | CENTER:''各種臉型'' |
|---|
| 993 | | - | |||CENTER:|c |
|---|
| 994 | | - | |~用法1|~用法2|~臉型|h |
|---|
| 995 | | - | |&smile;|:)|⌣| |
|---|
| 996 | | - | |&bigsmile;|:D|&bigsmile;| |
|---|
| 997 | | - | |&huh;|:p,:d|&huh;| |
|---|
| 998 | | - | |&oh;|X(,XD|&oh;| |
|---|
| 999 | | - | |&wink;|;)|&wink;| |
|---|
| 1000 | | - | |&sad;|:(,;(|&sad;| |
|---|
| 1001 | | - | |&heart;||&heart;| |
|---|
| 1002 | | - | |&mheart;||&mheart;| |
|---|
| 1003 | | - | |
|---|
| 1004 | | - | **直接插入型的元素 [#qd015d06] |
|---|
| 1005 | | - | |''範例''|''用法''|''備註''| |
|---|
| 1006 | | - | |''粗體字''|''粗體字''|將文字放在兩個單引號之間。| |
|---|
| 1007 | | - | |'''斜體字'''|'''斜體字'''|將文字放在三個單引號之間。| |
|---|
| 1008 | | - | |文字的&br;換行|文字的&br;換行|| |
|---|
| 1009 | | - | |&size(24){文字大小是 24};| &size(24){文字大小是 24};|| |
|---|
| 1010 | | - | |&color(red){紅色字};| &color(red){紅色字};|| |
|---|
| 1011 | | - | |&color(#a98765){有顏色的字};| &color(#a98765){有顏色的字};|| |
|---|
| 1012 | | - | |&color(red,yellow){?底紅字};| &color(red,yellow){?底紅字};|| |
|---|
| 1013 | | - | |%%刪除線%%| %%刪除線%%|| |
|---|
| 1014 | | - | |((這是註?的文字))|((這是註?的文字))|在頁面的底部插入註?。| |
|---|
| 1015 | | - | |&ref(http://pukiwiki.idv.tw);|&ref(http://pukiwiki.idv.tw);|插入一個參考連結。| |
|---|
| 1016 | | - | |&aname(Anchor);|&aname(Anchor);|插入一個頁?連結。| |
|---|
| 1017 | | - | |&counter;|&counter;|插入訪客人數統計。| |
|---|
| 1018 | | - | |&online;|&online;|插入目前站上訪客人數。| |
|---|
| 1019 | | - | |&version;|&version;|插入目前的 PukiPlus 版本資訊。| |
|---|
| 1020 | | - | |WikiName|WikiName|連結至站?的?一個頁面。| |
|---|
| 1021 | | - | |[[BracketName]]|[[BracketName]]|連結至站?的?一個頁面。| |
|---|
| 1022 | | - | |[[外部連結:http://pukiplus.sourceforge.net/]]|[[外部連結:http://pukiplus.sourceforge.net/]]|連結至外部的頁面。| |
|---|
| 1023 | | - | |[[InterWikiLink:頁面]]|[[InterWikiLink:頁面]]|連結至其他 Wiki 站的頁面。| |
|---|
| 1024 | | - | &br; |
|---|
| 1025 | | - | |
|---|
| 1026 | | - | **區塊型元素 [#b2c7e110] |
|---|
| 1027 | | - | ~段落 |
|---|
| 1028 | | - | ~段落 |
|---|
| 1029 | | - | 後面隱藏的是註解: //註解 |
|---|
| 1030 | | - | 後面隱藏的是註解: //?無法看到註解。 |
|---|
| 1031 | | - | 預先格式化的文字。在文字的前面有一個空白。 |
|---|
| 1032 | | - | 預先格式化的文字。在文字的前面有一個空白。 |
|---|
| 1033 | | - | |
|---|
| 1034 | | - | *標題一 |
|---|
| 1035 | | - | **標題二 |
|---|
| 1036 | | - | ***標題三 |
|---|
| 1037 | | - | |
|---|
| 1038 | | - | >第一層引用 |
|---|
| 1039 | | - | >>第二層引用 |
|---|
| 1040 | | - | >>>第三層引用 |
|---|
| 1041 | | - | >第一層引用 |
|---|
| 1042 | | - | >>第二層引用 |
|---|
| 1043 | | - | >>>第三層引用 |
|---|
| 1044 | | - | |
|---|
| 1045 | | - | -條列一 |
|---|
| 1046 | | - | --條列二 |
|---|
| 1047 | | - | ---條列三 |
|---|
| 1048 | | - | -條列一 |
|---|
| 1049 | | - | --條列二 |
|---|
| 1050 | | - | ---條列三 |
|---|
| 1051 | | - | |
|---|
| 1052 | | - | +數字條列一 |
|---|
| 1053 | | - | ++數字條列二 |
|---|
| 1054 | | - | +++數字條列三 |
|---|
| 1055 | | - | +數字條列一 |
|---|
| 1056 | | - | ++數字條列二 |
|---|
| 1057 | | - | +++數字條列三 |
|---|
| 1058 | | - | |
|---|
| 1059 | | - | :定義|描述 |
|---|
| 1060 | | - | :定義|描述 |
|---|
| 1061 | | - | |
|---|
| 1062 | | - | 水平線 |
|---|
| 1063 | | - | ---- |
|---|
| 1064 | | - | ---- |
|---|
| 1065 | | - | |
|---|
| 1066 | | - | 表格 |
|---|
| 1067 | | - | |aaa|bbb|ccc| |
|---|
| 1068 | | - | |111|222|333| |
|---|
| 1069 | | - | |aaa|bbb|ccc| |
|---|
| 1070 | | - | |111|222|333| |
|---|
| 1071 | | - | |
|---|
| 1072 | | - | CSV 表格 |
|---|
| 1073 | | - | ,aaa,bbb,ccc |
|---|
| 1074 | | - | ,111,222,333 |
|---|
| 1075 | | - | ,aaa,bbb,ccc |
|---|
| 1076 | | - | ,111,222,333 |
|---|
| 1077 | | - | &br; |
|---|
| 1078 | | - | |&heart;|&heart;|| |
|---|
| 1079 | | - | |©|&copy;|| |
|---|
| 1080 | | - | |®|&reg;|| |
|---|
| 1081 | | - | |™|&trade;|| |
|---|
| 1082 | | - | |²|&sup2;|| |
|---|
| 1083 | | - | |³|&sup3;|| |
|---|
| 1084 | | - | | |&nbsp;|You may not be able to see it,&br;but there is a non-breaking space in the first column. &br; It prevents a line from being broken at that point.| |
|---|
| 1085 | | - | | |&#10;|Is this a normal space?| |
|---|
| 1086 | | - | ||&#16;|And this, a minus sign? | |
|---|
| 1087 | | - | }}} |
|---|
| 1088 | | - | |
|---|
| 1089 | | - | #multilang(zh_CN){{ |
|---|
| 1090 | | - | * 写作语法 [#k9f64709] |
|---|
| 1091 | | - | |
|---|
| 1092 | | - | ---- |
|---|
| 1093 | | - | #contents |
|---|
| 1094 | | - | ---- |
|---|
| 1095 | | - | |
|---|
| 1096 | | - | ** 块元素 [#j8bab7de] |
|---|
| 1097 | | - | -一个块元素可以作为其他块元素的子元素。但是目录、水平线、以#为起始的块元素无法成为其他块元素的子元素 |
|---|
| 1098 | | - | -空格是顶级块元素的分隔符,空格一旦出现,意味着所有块元素的终止 |
|---|
| 1099 | | - | -成为块元素的插件显示为#~ |
|---|
| 1100 | | - | |
|---|
| 1101 | | - | *** 段落 [#tfd28096] |
|---|
| 1102 | | - | 行内元素 |
|---|
| 1103 | | - | 接着行首直接写内容,将成为段落 |
|---|
| 1104 | | - | ~ 行内元素 |
|---|
| 1105 | | - | 行首为 ~ 也是一个段落 |
|---|
| 1106 | | - | ~ 行内元素 |
|---|
| 1107 | | - | |
|---|
| 1108 | | - | *** 引用 [#je5f88da] |
|---|
| 1109 | | - | > 行内元素 |
|---|
| 1110 | | - | 行首为 > 的文本将显示为引用,引用可以有三级 >、>>、>>>。 |
|---|
| 1111 | | - | > 行内元素 |
|---|
| 1112 | | - | |
|---|
| 1113 | | - | -只要引用中不出现块元素,那么引用将会继续 |
|---|
| 1114 | | - | -只要不出现空行,那么引用将会继续 |
|---|
| 1115 | | - | -只要不出现新的引用或块元素,那么引用中的段落将会继续 |
|---|
| 1116 | | - | -如果要在列表结构中跳出引用,但是不跳出列表,可以在行首写 <、<<、<<<。 |
|---|
| 1117 | | - | |
|---|
| 1118 | | - | *** 列表结构 [#r2f68a6a] |
|---|
| 1119 | | - | - 行内元素 |
|---|
| 1120 | | - | 将创建一个无序列表 |
|---|
| 1121 | | - | - 行内元素 |
|---|
| 1122 | | - | |
|---|
| 1123 | | - | + 行内元素 |
|---|
| 1124 | | - | 将创建一个有序列表 |
|---|
| 1125 | | - | + 行内元素 |
|---|
| 1126 | | - | |
|---|
| 1127 | | - | : 术语 | 解释 |
|---|
| 1128 | | - | 将创建一个定义列表 |
|---|
| 1129 | | - | : 术语 | 解释 |
|---|
| 1130 | | - | |
|---|
| 1131 | | - | -一个定义列表必须包含 | |
|---|
| 1132 | | - | |
|---|
| 1133 | | - | *** 禁止排版的文本 [#x9c8dbc7] |
|---|
| 1134 | | - | 行首为半角空格的文本自动成为禁止排版的文本。 |
|---|
| 1135 | | - | -禁止排版的文本的子元素将被视为字符串 |
|---|
| 1136 | | - | |
|---|
| 1137 | | - | *** 表格 [#rc2feb90] |
|---|
| 1138 | | - | | 单元格A | 单元格B | |
|---|
| 1139 | | - | 以 | 为行首并分隔元素可以构成表格 |
|---|
| 1140 | | - | | 单元格A | 单元格B | |
|---|
| 1141 | | - | |
|---|
| 1142 | | - | - 每个元素的有以下属性: |
|---|
| 1143 | | - | LEFT: |
|---|
| 1144 | | - | CENTER: |
|---|
| 1145 | | - | RIGHT: |
|---|
| 1146 | | - | BGCOLOR(背景色): |
|---|
| 1147 | | - | COLOR(文字色): |
|---|
| 1148 | | - | SIZE(文字大小): |
|---|
| 1149 | | - | -- 元素的显示为之和背景色、文字色、文字大小以像素(px)为单位。单元格内默认为左对齐 |
|---|
| 1150 | | - | - |
|---|
| 1151 | | - | |表格中 |每个单元格的 |配置示例 | |
|---|
| 1152 | | - | |COLOR(crimson):左对齐 |CENTER:居中 |BGCOLOR(yellow):RIGHT:右对齐| |
|---|
| 1153 | | - | |RIGHT:右对齐 |左对齐 |CENTER:居中 | |
|---|
| 1154 | | - | |
|---|
| 1155 | | - | *** CSV格式的表格 [#n81aa810] |
|---|
| 1156 | | - | ,A单元格,B单元格,… |
|---|
| 1157 | | - | 以“,”起始的行内元素可以构成表格,以==连接的两个元素将合并为一个单元格 |
|---|
| 1158 | | - | ,A单元格,B单元格,… |
|---|
| 1159 | | - | |
|---|
| 1160 | | - | *** 标题 [#n77bb3c1] |
|---|
| 1161 | | - | * 行内元素 |
|---|
| 1162 | | - | 位于行首的 * 将显示为标题。可以有 *、**、*** 三级标题。 |
|---|
| 1163 | | - | |
|---|
| 1164 | | - | *** 目录 [#p2e68a78] |
|---|
| 1165 | | - | #contents |
|---|
| 1166 | | - | 位于行首的 #contents 将在页面顶部显示一个目录,#contents 一般写在源文本的靠近最上方的位置 |
|---|
| 1167 | | - | |
|---|
| 1168 | | - | *** 左对齐、右对齐和居中 [#ea711503] |
|---|
| 1169 | | - | LEFT:我是左对齐的文本 |
|---|
| 1170 | | - | LEFT:我是左对齐的文本 |
|---|
| 1171 | | - | CENTER:我是居中文本 |
|---|
| 1172 | | - | CENTER:我是居中文本 |
|---|
| 1173 | | - | RIGHT:我是右对齐文本 |
|---|
| 1174 | | - | RIGHT:我是右对齐文本 |
|---|
| 1175 | | - | |
|---|
| 1176 | | - | *** 水平线 [#g8de101b] |
|---|
| 1177 | | - | ---- |
|---|
| 1178 | | - | 从行首开始至少4个 - 将显示为水平线 |
|---|
| 1179 | | - | ---- |
|---|
| 1180 | | - | |
|---|
| 1181 | | - | #hr |
|---|
| 1182 | | - | 从行首开始的 #hr 将显示为分割线,超过上级块元素60%以上的部分会自动截断。 |
|---|
| 1183 | | - | #hr |
|---|
| 1184 | | - | |
|---|
| 1185 | | - | *** 增加行间距 [#t9a4b28f] |
|---|
| 1186 | | - | #br |
|---|
| 1187 | | - | 可以增加行间距,例如 |
|---|
| 1188 | | - | |
|---|
| 1189 | | - | 第一行 |
|---|
| 1190 | | - | #br |
|---|
| 1191 | | - | 第二行 |
|---|
| 1192 | | - | |
|---|
| 1193 | | - | *** 清除格式 [#o61d3178] |
|---|
| 1194 | | - | #clear |
|---|
| 1195 | | - | 在行首的 #clear 表示清除之前的所有格式 |
|---|
| 1196 | | - | |
|---|
| 1197 | | - | *** 表单 [#n7d8d659] |
|---|
| 1198 | | - | |
|---|
| 1199 | | - | #comment |
|---|
| 1200 | | - | 显示一个评论栏 |
|---|
| 1201 | | - | #comment |
|---|
| 1202 | | - | |
|---|
| 1203 | | - | #pcomment |
|---|
| 1204 | | - | 评论内容记录到另一个页面的评论栏,并对回复的评论作缩进显示 |
|---|
| 1205 | | - | #pcomment |
|---|
| 1206 | | - | |
|---|
| 1207 | | - | #article |
|---|
| 1208 | | - | 一个简易留言板 |
|---|
| 1209 | | - | #article |
|---|
| 1210 | | - | |
|---|
| 1211 | | - | #vote(选项1,选项2,选项3,...) |
|---|
| 1212 | | - | 一个简易的投票 |
|---|
| 1213 | | - | #vote(选项1,选项2,选项3,...) |
|---|
| 1214 | | - | |
|---|
| 1215 | | - | ** 行内元素 [#y067a7ef] |
|---|
| 1216 | | - | |
|---|
| 1217 | | - | *** 字符串 [#l37bf323] |
|---|
| 1218 | | - | 字符串 |
|---|
| 1219 | | - | 字符串是行内元素 |
|---|
| 1220 | | - | |
|---|
| 1221 | | - | *** 换行 [#aeae58cd] |
|---|
| 1222 | | - | 行末换行~ |
|---|
| 1223 | | - | |
|---|
| 1224 | | - | 行末换行~ |
|---|
| 1225 | | - | |
|---|
| 1226 | | - | -行末换行无法在表格、以 # 起始的块元素和列表中使用 |
|---|
| 1227 | | - | |
|---|
| 1228 | | - | &br; |
|---|
| 1229 | | - | &br; |
|---|
| 1230 | | - | -会强制换行 |
|---|
| 1231 | | - | -可以在表格、以 # 起始的块元素和列表中使用 |
|---|
| 1232 | | - | |
|---|
| 1233 | | - | *** 粗体字和斜体字 [#k16faf60] |
|---|
| 1234 | | - | ''粗体字'' |
|---|
| 1235 | | - | 以一对''包围的文字会成为''粗体字''。 |
|---|
| 1236 | | - | -粗体字可以成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237 | | - | -粗体字中可以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238 | | - | |
|---|
| 1239 | | - | '''斜体字''' |
|---|
| 1240 | | - | 以一对'''包围的文字会成为''斜体字''。 |
|---|
| 1241 | | - | -斜体字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242 | | - | -斜体字中可以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243 | | - | |
|---|
| 1244 | | - | *** 文字大小 [#hb32be2e] |
|---|
| 1245 | | - | &size(文字大小){行内元素}; |
|---|
| 1246 | | - | 使用 &size 可以指定文本字体的大小。文字大小以像素(px)为单位。如果文字大小设置为20,则显示为&size(20){20像素大小的文字};。 |
|---|
| 1247 | | - | -文字大小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248 | | - | -文字大小可以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249 | | - | |
|---|
| 1250 | | - | *** 文字颜色 [#w63e34b0] |
|---|
| 1251 | | - | &color(文字颜色,背景色){行内元素}; |
|---|
| 1252 | | - | 使用 &color 可以指定行内元素的&color(#CC0099){文字颜色};和&color(#3366FF,#FF6666){背景色};。 |
|---|
| 1253 | | - | |
|---|
| 1254 | | - | -可以使用以下格式指定颜色。 |
|---|
| 1255 | | - | --颜色关键字 |
|---|
| 1256 | | - | --#6位16进制数 |
|---|
| 1257 | | - | --#3位16进制数 |
|---|
| 1258 | | - | -文字颜色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259 | | - | -文字颜色可以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260 | | - | |
|---|
| 1261 | | - | *** 删除线 [#m0fc7108] |
|---|
| 1262 | | - | %%带删除线的行内元素%% |
|---|
| 1263 | | - | 使用%%把行内元素包围起来,可以添加一个%%带删除线的行内元素%%。 |
|---|
| 1264 | | - | -删除线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265 | | - | -删除线可以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266 | | - | |
|---|
| 1267 | | - | *** 脚注 [#e79530a8] |
|---|
| 1268 | | - | ((行内元素)) |
|---|
| 1269 | | - | 使用 (( 和 )) 将行内元素包围起来,可以创建一个脚注((脚注示例))。 |
|---|
| 1270 | | - | -脚注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父元素会应用到脚注的链接。 |
|---|
| 1271 | | - | -脚注可以包含其他的行内元素。子元素会应用到到脚注文本。 |
|---|
| 1272 | | - | |
|---|
| 1273 | | - | *** 添加文件和图像 [#m8262838] |
|---|
| 1274 | | - | &ref(添加的文件名); |
|---|
| 1275 | | - | &ref(文件的链接); |
|---|
| 1276 | | - | 可在页面中添加文件和图像,如果添加的是图像,会直接将图像显示出来。 |
|---|
| 1277 | | - | &ref(http://wordpress.org/latest.tar.gz); |
|---|
| 1278 | | - | 将显示为 |
|---|
| 1279 | | - | &ref(http://wordpress.org/latest.tar.gz); |
|---|
| 1280 | | - | |
|---|
| 1281 | | - | *** 注音 [#m1bbd50b] |
|---|
| 1282 | | - | &ruby(注音字符){行内元素}; |
|---|
| 1283 | | - | 这是一个拼音的&ruby(zhu4 yin1){注音};,一个假名的注音:&ruby(あきばりか){秋庭里香}; |
|---|
| 1284 | | - | -请尽量不要在脚注中使用注音,这样会很难分辨出注音 |
|---|
| 1285 | | - | |
|---|
| 1286 | | - | *** 访问计数器 [#bdef77f6] |
|---|
| 1287 | | - | &counter; |
|---|
| 1288 | | - | &counter(选项); |
|---|
| 1289 | | - | 显示访问页面的人数。 |
|---|
| 1290 | | - | - &counter 有以下选项,默认情况下的选项为total。 |
|---|
| 1291 | | - | today |
|---|
| 1292 | | - | -- 显示今天的访问数为&counter(today);次。 |
|---|
| 1293 | | - | - |
|---|
| 1294 | | - | yesterday |
|---|
| 1295 | | - | -- 显示昨天的访问数为&counter(yesterday);次。 |
|---|
| 1296 | | - | - |
|---|
| 1297 | | - | total |
|---|
| 1298 | | - | -- 显示访问总数为&counter(total);次。 |
|---|
| 1299 | | - | -访问计数器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300 | | - | -访问计数器不能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301 | | - | |
|---|
| 1302 | | - | *** 显示在线人数 [#ub88554b] |
|---|
| 1303 | | - | &online; |
|---|
| 1304 | | - | &online 可显示当前的在线人数。例如当前在线&online;人。 |
|---|
| 1305 | | - | -在线人数显示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306 | | - | -在线人数显示不能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307 | | - | |
|---|
| 1308 | | - | *** 显示版本信息 [#f7812e20] |
|---|
| 1309 | | - | &version; |
|---|
| 1310 | | - | &version 可查看目前使用的PukiWiki的版本。当前使用的PukiWiki版本为&version;。 |
|---|
| 1311 | | - | -版本显示可以作为其他行内元素的子元素。 |
|---|
| 1312 | | - | -版本显示不能包含其他的行内元素。 |
|---|
| 1313 | | - | |
|---|
| 1314 | | - | *** WikiName [#k2813b5f] |
|---|
| 1315 | | - | WikiName |
|---|
| 1316 | | - | 按照至少1个大写字母→至少1个小写字母→至少1个大写字母→至少1个小写字母的顺序组成的字符串为WikiName。 |
|---|
| 1317 | | - | -WikiName中不能包含全角或半角的空格、符号以及数字。 |
|---|
| 1318 | | - | -WikiName为PukiWiki中已经存在的页面名。如果该页面存在,则自动显示为链接,如果页面不存在,则在WikiName后显示? |
|---|
| 1319 | | - | |
|---|
| 1320 | | - | *** 页面名称 [#b496417d] |
|---|
| 1321 | | - | [[页面名称]] |
|---|
| 1322 | | - | 显示为 |
|---|
| 1323 | | - | [[页面名称]] |
|---|
| 1324 | | - | |
|---|
| 1325 | | - | [[页面名称#链接名]] |
|---|
| 1326 | | - | 显示为 |
|---|
| 1327 | | - | [[页面名称#链接名]] |
|---|
| 1328 | | - | |
|---|
| 1329 | | - | *** InterWiki [#m83b1b83] |
|---|
| 1330 | | - | [[InterWikiName:页面名称]] |
|---|
| 1331 | | - | 显示为 |
|---|
| 1332 | | - | [[InterWikiName:页面名称]] |
|---|
| 1333 | | - | |
|---|
| 1334 | | - | *** 链接 [#qe760c6e] |
|---|
| 1335 | | - | [[链接名:网址]] |
|---|
| 1336 | | - | 在InterWikiName中的:之前写任意的链接名,:之后写网址,将显示为带链接的链接名。 |
|---|
| 1337 | | - | |
|---|
| 1338 | | - | http://www.example.com/ |
|---|
| 1339 | | - | 显示为 |
|---|
| 1340 | | - | http://www.example.com/ |
|---|
| 1341 | | - | |
|---|
| 1342 | | - | https://www.example.com/ |
|---|
| 1343 | | - | 显示为 |
|---|
| 1344 | | - | https://www.example.com/ |
|---|
| 1345 | | - | |
|---|
| 1346 | | - | ftp://ftp.example.com/ |
|---|
| 1347 | | - | 显示为 |
|---|
| 1348 | | - | ftp://ftp.example.com/ |
|---|
| 1349 | | - | |
|---|
| 1350 | | - | foo@example.com |
|---|
| 1351 | | - | 显示为 |
|---|
| 1352 | | - | foo@example.com |
|---|
| 1353 | | - | |
|---|
| 1354 | | - | -在行内粘贴链接,会显示为带链接的文本 |
|---|
| 1355 | | - | -如果链接为图像,则会直接显示图像 |
|---|
| 1356 | | - | |
|---|
| 1357 | | - | *** 页面别名 [#p50ce409] |
|---|
| 1358 | | - | [[页面别名>页面名称]] |
|---|
| 1359 | | - | 显示为 |
|---|
| 1360 | | - | [[页面别名>页面名称]] |
|---|
| 1361 | | - | |
|---|
| 1362 | | - | -也可以使用:来代替> |
|---|
| 1363 | | - | |
|---|
| 1364 | | - | *** 制表符 [#ha01f7e6] |
|---|
| 1365 | | - | &t; |
|---|
| 1366 | | - | 将创建一个制表符 |
|---|
| 1367 | | - | |
|---|
| 1368 | | - | 上一行有一个制表符。 |
|---|
| 1369 | | - | |
|---|
| 1370 | | - | *** 页面名称转义字符 [#xe9129e9] |
|---|
| 1371 | | - | &page; |
|---|
| 1372 | | - | 将显示最末端的子页面名称:写作语法 |
|---|
| 1373 | | - | &fpage; |
|---|
| 1374 | | - | 将显示页面的完整名称:写作语法 |
|---|
| 1375 | | - | |
|---|
| 1376 | | - | *** 日期时间转义字符 [#j566e7db] |
|---|
| 1377 | | - | &date; |
|---|
| 1378 | | - | 显示编辑时的日期 |
|---|
| 1379 | | - | 2011-07-31 |
|---|
| 1380 | | - | |
|---|
| 1381 | | - | &time; |
|---|
| 1382 | | - | 显示编辑时的时间 |
|---|
| 1383 | | - | 10:42:14 |
|---|
| 1384 | | - | |
|---|
| 1385 | | - | &now; |
|---|
| 1386 | | - | 显示编辑时的日期时间 |
|---|
| 1387 | | - | 2011-07-31 (星期日) 10:42:14 |
|---|
| 1388 | | - | |
|---|
| 1389 | | - | &_date; |
|---|
| 1390 | | - | 显示用于显示时的日期 |
|---|
| 1391 | | - | &_date; |
|---|
| 1392 | | - | |
|---|
| 1393 | | - | &_time; |
|---|
| 1394 | | - | 显示用于显示时的时间 |
|---|
| 1395 | | - | &_time; |
|---|
| 1396 | | - | |
|---|
| 1397 | | - | -&_now;显示用于显示时的日期时间&_now; |
|---|
| 1398 | | - | -&lastmod;用于显示当前页面的最近修订时间 &lastmod; |
|---|
| 1399 | | - | -&lastmod(某页面); 用于显示某页面的最近修订时间 &lastmod(某页面); |
|---|
| 1400 | | - | |
|---|
| 1401 | | - | *** 符号和表情转移字符 [#r8118be2] |
|---|
| 1402 | | - | -&copy; 显示为版权符号© |
|---|
| 1403 | | - | -&reg; 显示为专利符号® |
|---|
| 1404 | | - | -&heart;显示为心形符号 &heart; |
|---|
| 1405 | | - | -&smile;显示为 ⌣ |
|---|
| 1406 | | - | -&bigsmile;显示为 &bigsmile; |
|---|
| 1407 | | - | -&huh;显示为 &huh; |
|---|
| 1408 | | - | -&oh;显示为 &oh; |
|---|
| 1409 | | - | -&wink;显示为 &wink; |
|---|
| 1410 | | - | -&sad;显示为 &sad; |
|---|
| 1411 | | - | -&worried;显示为 &worried; |
|---|
| 1412 | | - | |
|---|
| 1413 | | - | *** 数值转义字符 [#hcc3361e] |
|---|
| 1414 | | - | 
进制数; |
|---|
| 1415 | | - | 进制数; |
|---|
| 1416 | | - | |
|---|
| 1417 | | - | -&#38290; 显示为Unicode的“閒” |
|---|
| 1418 | | - | -&#29109; 显示为Unicode的“熵” |
|---|
| 1419 | | - | |
|---|
| 1420 | | - | |
|---|
| 1421 | | - | ** 其他 [#z06697b7] |
|---|
| 1422 | | - | |
|---|
| 1423 | | - | *** 行注释 [#oa4f811c] |
|---|
| 1424 | | - | // 注释内容 |
|---|
| 1425 | | - | 行首为 // 的行为注释行。此行不会显示任何内容。 |
|---|
| 1426 | | - | -注释行可以放在任何位置,只要行首以 // 为起始 |
|---|
| 1427 | | - | -注释行不会对前后的行产生任何影响 |
|---|
| 1428 | | - | }} |
|---|
| 1429 | | - | |
|---|
| 1430 | | - | #multilang(ko_KR){{ |
|---|
| 1431 | | - | #norelated |
|---|
| 1432 | | - | * 문법 [#oca54177] |
|---|
| 1433 | | - | |
|---|
| 1434 | | - | 보통은 입력한 문장이 그대로 출력됩니다. |
|---|
| 1435 | | - | |
|---|
| 1436 | | - | - HTML태그는 사용할수 없습니다. 쓰여진 문장은 그대로(「<font color="red">text</font>」:이런 모양으로)표시됩니다. |
|---|
| 1437 | | - | - 문단과 문단의 구분에는 빈 줄을 넣어 주십시오. 빈 줄을 넣지 않고 연속해서 여러개의 행에 기록된 내용은 같은 문단으로 해석됩니다. (연결되어 표시됩니다) |
|---|
| 1438 | | - | |
|---|
| 1439 | | - | 또한, 특정한 문법에 의한 텍스트 서식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플러그인에 의한 텍스트 서식 지정도 가능합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플러그인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플러그인의 옵션등의 상세한 설명은 [[PukiWiki/1.4/설명서/플러그인]] 을 참조해 주십시오. |
|---|
| 1440 | | - | |
|---|
| 1441 | | - | ------------------------------------- |
|---|
| 1442 | | - | #contents |
|---|
| 1443 | | - | ------------------------------------- |
|---|
| 1444 | | - | |
|---|
| 1445 | | - | ** 블록 요소 [#vd593893] |
|---|
| 1446 | | - | - 블록 요소는 인라인 요소나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문단, 제목, 수평선과 #로 시작하는 블록 요소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447 | | - | - 빈 줄은 최상위 수준의 블록 요소를 마무리합니다. 빈 줄이 나타나면 모든 블록 요소는 종료합니다. |
|---|
| 1448 | | - | - 블록 요소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449 | | - | -- 목록과 인용문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자식 요소인 블록 요소는 부모 요소의 수준에 따라 들여쓰여집니다. 빈 줄이 나타나면 블록 요소는 종료합니다. |
|---|
| 1450 | | - | -- 목록과 인용문에는 3단계의 중첩 수준이 있으며, 목록과 인용문의 수준은 독립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목록을 인용문의 자식 요소로 하거나 인용문을 목록의 자식 요소로 할 때에는 수준을 높이지 않고 나타냅니다. 목록을 다른 목록의 자식 요소로 하거나 인용문을 다른 인용문의 자식 요소로 할 때에는 수준을 1단계 높여서 나타냅니다. |
|---|
| 1451 | | - | --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인 인용문에서 빠져 나올 때 부모 요소는 끝내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줄머리에 <, <<, <<<를 씁니다. <는 1단계, <<는 2단계, <<<는 3단계의 인용문에서 빠져 나옵니다.빈 줄을 쓰면 인용문은 물론 부모 요소에서도 빠져 나옵니다. |
|---|
| 1452 | | - | - 블록 요소가 되는 플러그인은 #~와 같이 나타냅니다. |
|---|
| 1453 | | - | |
|---|
| 1454 | | - | *** 문단 [#n6691793] |
|---|
| 1455 | | - | 인라인 요소 |
|---|
| 1456 | | - | 다른 블록 요소를 명시하지 않으면 문단이 됩니다. |
|---|
| 1457 | | - | ~인라인 요소 |
|---|
| 1458 | | - | 줄머리가 ~일 경우에도 문단이 됩니다. 줄머리 서식으로 쓰이는 문자(~, -, +, :, >, |, #, //)를 보통 문자처럼 문단의 맨 앞에 쓰고 싶을 때 줄머리에 ~를 써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 1459 | | - | #br |
|---|
| 1460 | | - | - 문단의 앞은 한 칸 들여쓰여집니다. 하지만 번호 없는 목록, 번호 있는 목록, 인용문 안의 문단에서는 들여쓰여지지 않습니다. 정의 목록 안의 문단의 앞은 한 칸 들여쓰여집니다. |
|---|
| 1461 | | - | - 문단은 새로운 블록 요소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됩니다. |
|---|
| 1462 | | - | - 문단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463 | | - | - 문단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464 | | - | |
|---|
| 1465 | | - | *** 인용문 [#af1781b1] |
|---|
| 1466 | | - | >인라인 요소 |
|---|
| 1467 | | - | 줄머리가 >면 인용문이 됩니다. 인용문에는 >, >>, >>>라는 3단계의 수준이 있습니다. |
|---|
| 1468 | | - | #br |
|---|
| 1469 | | - | - 인용문 안은 블록 요소를 명시하지 않는 한 문단이 됩니다. |
|---|
| 1470 | | - | - 인용문은 빈 줄이 나타날 때까지 계속됩니다. |
|---|
| 1471 | | - | - 인용문 안의 문단은 새로운 인용문이나 블록 요소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됩니다. |
|---|
| 1472 | | - | - 인용문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인용문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에는 수준을 1단계 높여서 나타냅니다. 목록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에는 수준을 높이지 않고 나타냅니다. |
|---|
| 1473 | | - | - 인용문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인용문의 자식 요소가 되는 목록은 수준을 높이지 않고 기술합니다. |
|---|
| 1474 | | - | - 목록 안의 인용문에서 탈출할 때 목록은 계속되게 하고 싶으면 <, <<, <<<를 줄머리에 씁니다. |
|---|
| 1475 | | - | |
|---|
| 1476 | | - | *** 목록 [#q8abd9a8] |
|---|
| 1477 | | - | -인라인 요소 |
|---|
| 1478 | | - | 줄머리가 -면 번호 없는 목록이 됩니다. 번호 없는 목록에는 -,--,---라는 3단계의 수준이 있습니다. |
|---|
| 1479 | | - | #br |
|---|
| 1480 | | - | - 번호 없는 목록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목록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 수준을 1단계 높여서 나타냅니다. 인용문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에는 수준을 높이지 않고 나타냅니다. |
|---|
| 1481 | | - | - -바로 뒤에 ~가 있으면 문단을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482 | | - | - 번호 없는 목록은 ''목록의 첫 머리가 인라인 요소나 문단인 경우'' 목록 다음 줄에 다른 블록 요소를 써서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483 | | - | |
|---|
| 1484 | | - | +인라인 요소 |
|---|
| 1485 | | - | 줄머리가 +면 번호 있는 목록이 됩니다. 번호 있는 목록에는 +,++,+++라는 3단계의 수준이 있습니다. |
|---|
| 1486 | | - | #br |
|---|
| 1487 | | - | - 번호 있는 목록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목록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 수준을 1단계 높여서 나타냅니다. 인용문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에는 수준을 높이지 않고 나타냅니다. |
|---|
| 1488 | | - | - +바로 뒤에 ~가 있으면 문단을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489 | | - | - 번호 있는 목록은 ''목록의 첫 머리가 인라인 요소나 문단인 경우'' 목록 다음 줄에 다른 블록 요소를 써서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490 | | - | |
|---|
| 1491 | | - | :정의어|설명문 |
|---|
| 1492 | | - | 줄머리가 :이고, |로 정의어와 설명문을 구분하면 정의 목록이 됩니다. 정의 목록에는 :,::,:::라는 3단계의 수준이 있습니다. |
|---|
| 1493 | | - | |
|---|
| 1494 | | - | 정의 목록의 정의어·설명문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정의 목록 여러 개를 연속해서 쓰고 2번째 이후는 정의어를 생략해서 1개의 정의어에 대해 여러 개의 설명문을 쓸 수 있습니다. |
|---|
| 1495 | | - | #br |
|---|
| 1496 | | - | - 줄 안에 | 가 없으면 정의 목록이 되지 않습니다. |
|---|
| 1497 | | - | - 정의어, 설명문은 인라인 요소로만 쓸 수 있습니다. |
|---|
| 1498 | | - | - 정의 목록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목록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 수준을 1단계 높여서 나타냅니다. 인용문의 자식 요소가 될 경우에는 수준을 높이지 않고 나타냅니다. |
|---|
| 1499 | | - | - | 바로 뒤에 ~를 쓰면 문단을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500 | | - | - 정의 목록은 정의 목록의 다음 줄에 다른 블록 요소를 써서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501 | | - | |
|---|
| 1502 | | - | *** 모양 없는 글 [#g72f3a72] |
|---|
| 1503 | | - | 줄머리가 빈 칸인 줄은 모양 없는 글(preformatted text)이 됩니다. 자동 줄바꿈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긴 줄도 잘리지 않습니다. |
|---|
| 1504 | | - | #br |
|---|
| 1505 | | - | - 모양 없는 글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506 | | - | - 모양 없는 글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가 없습니다. |
|---|
| 1507 | | - | - 모양 없는 글은 모든 자식 요소를 문자열로 취급합니다. |
|---|
| 1508 | | - | |
|---|
| 1509 | | - | *** 표 [#k7c49df4] |
|---|
| 1510 | | - | |인라인 요소|인라인 요소| |
|---|
| 1511 | | - | 줄머리부터 |로 인라인 요소를 구분하면 표가 됩니다. |
|---|
| 1512 | | - | #br |
|---|
| 1513 | | - | - 각 요소의 첫머리에 아래와 같은 기술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1514 | | - | LEFT: |
|---|
| 1515 | | - | CENTER: |
|---|
| 1516 | | - | RIGHT: |
|---|
| 1517 | | - | BGCOLOR(색): |
|---|
| 1518 | | - | COLOR(색): |
|---|
| 1519 | | - | SIZE(사이즈): |
|---|
| 1520 | | - | -- 요소의 표시 위치 및 배경색, 문자 색, 문자 크기(픽셀 단위)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가운데 맞춤입니다. |
|---|
| 1521 | | - | - |
|---|
| 1522 | | - | #br |
|---|
| 1523 | | - | |표의|각 칸의 요소의 배치에|관한 예제| |
|---|
| 1524 | | - | |LEFT:왼쪽 맞춤|가운데 맞춤|BGCOLOR(yellow):RIGHT:오른쪽 맞춤| |
|---|
| 1525 | | - | |COLOR(crimson):RIGHT:오른쪽 맞춤|LEFT:왼쪽 맞춤|가운데 맞춤| |
|---|
| 1526 | | - | #br |
|---|
| 1527 | | - | - 줄 끝에 c가 있으면 서식 지정줄이 됩니다. 서식 지정줄에서는 다음의 기술자가 쓰일 수 있습니다. |
|---|
| 1528 | | - | LEFT: |
|---|
| 1529 | | - | CENTER: |
|---|
| 1530 | | - | RIGHT: |
|---|
| 1531 | | - | BGCOLOR(색): |
|---|
| 1532 | | - | COLOR(색): |
|---|
| 1533 | | - | SIZE(크기): |
|---|
| 1534 | | - | -- 기술자의 뒤에 값을 써서 칸 폭을 픽셀 단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1535 | | - | - 줄 끝에 h가 있으면 머리줄(thead)이 됩니다. |
|---|
| 1536 | | - | - 줄 끝에 f가 있으면 꼬리줄(tfoot)이 됩니다. |
|---|
| 1537 | | - | - 칸에 있는 인라인 요소의 맨 앞에 ~를 붙이면 머리칸(th)이 됩니다. |
|---|
| 1538 | | - | |꼬리줄|가|나|다|f |
|---|
| 1539 | | - | |예제|~라|~마|바| |
|---|
| 1540 | | - | |머리줄|사|아|자|h |
|---|
| 1541 | | - | - 칸에 >만 쓰면 오른쪽 칸과 연결(colspan)합니다. |
|---|
| 1542 | | - | - 칸에 ~만 쓰면 위쪽 칸과 연결(rowspan)합니다. |
|---|
| 1543 | | - | |
|---|
| 1544 | | - | #br |
|---|
| 1545 | | - | - 표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546 | | - | - 표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47 | | - | |
|---|
| 1548 | | - | *** CSV형식의 표 [#zc726b7e] |
|---|
| 1549 | | - | ,데이터,데이터,… |
|---|
| 1550 | | - | ~줄머리부터 쉼표로 인라인 요소를 구분하면 표가 됩니다. |
|---|
| 1551 | | - | #br |
|---|
| 1552 | | - | - 인라인 요소는 큰 따옴표(")로 둘러쌀 수 있습니다. 큰 따옴표로 둘러싸서 쉼표(,)를 포함하는 포함한 인라인 요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 1553 | | - | - 큰 따옴표(")로 둘러싼 데이터 안에서 큰 따옴표 2개를 연속으로 사용해서("") 큰 따옴표(")를 포함하는 인라인 요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 1554 | | - | - 인라인 요소 대신에 등호를 2개(==) 쓰면 오른쪽 칸과의 연결(colspan)합니다. |
|---|
| 1555 | | - | - 인라인 요소 왼쪽에 1개 이상의 반각 공백 문자를 쓰면 오른쪽 맞춤이, 인라인 요소 좌우에 1개 이상의 반각 공백 문자를 쓰면 가운데 맞춤이 됩니다. |
|---|
| 1556 | | - | |
|---|
| 1557 | | - | #br |
|---|
| 1558 | | - | - 표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559 | | - | - 표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60 | | - | |
|---|
| 1561 | | - | *** 제목 [#z15343da] |
|---|
| 1562 | | - | *인라인 요소 |
|---|
| 1563 | | - | 줄머리가 *면 제목이 됩니다. 제목에는 *,**,***라는 3단계의 수준이 있습니다. |
|---|
| 1564 | | - | #br |
|---|
| 1565 | | - | - 제목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없습니다. 제목이 나타나면 다른 블록 요소는 종료합니다. |
|---|
| 1566 | | - | - 제목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67 | | - | |
|---|
| 1568 | | - | *** 차례 [#l6dfa631] |
|---|
| 1569 | | - | #contents |
|---|
| 1570 | | - | 줄머리가 #contents면 제목을 이용해서 차례를 만듭니다. 일반적으로 #contents는 글의 앞쪽에 나옵니다. |
|---|
| 1571 | | - | #br |
|---|
| 1572 | | - | - 차례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최상위 수준에서 쓰인다고 가정하고 왼쪽 여백을 설정해 놓았기 때문에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
| 1573 | | - | - 차례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74 | | - | |
|---|
| 1575 | | - | *** 왼쪽·오른쪽·가운데 맞춤 [#bbc1f21c] |
|---|
| 1576 | | - | LEFT:인라인 요소 |
|---|
| 1577 | | - | CENTER:인라인 요소 |
|---|
| 1578 | | - | RIGHT:인라인 요소 |
|---|
| 1579 | | - | 줄머리에 LEFT:, CENTER:, RIGHT:를 쓰면 인라인 요소가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맞추어집니다. |
|---|
| 1580 | | - | #br |
|---|
| 1581 | | - | - LEFT:, CENTER:, RIGHT: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582 | | - | - LEFT:, CENTER:, RIGHT: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83 | | - | |
|---|
| 1584 | | - | *** 수평선 [#s9799d2c] |
|---|
| 1585 | | - | ---- |
|---|
| 1586 | | - | 줄머리에 4개의 -를 쓰면 수평선이 됩니다. |
|---|
| 1587 | | - | #br |
|---|
| 1588 | | - | - 수평선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없습니다. 수평선이 나타나면 다른 블록 요소는 종료합니다. |
|---|
| 1589 | | - | - 수평선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90 | | - | |
|---|
| 1591 | | - | #hr |
|---|
| 1592 | | - | 줄머리에 #hr을 쓰면 문단선이 됩니다. 문단선은 길이가 상위 블록 요소 폭의 60%이고 가운데에 맞추어진 수평선입니다. |
|---|
| 1593 | | - | #br |
|---|
| 1594 | | - | - 문단선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595 | | - | - 문단선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596 | | - | |
|---|
| 1597 | | - | *** 줄 벌리기 [#j2656808] |
|---|
| 1598 | | - | #br |
|---|
| 1599 | | - | 줄머리에 #br을 쓰면 블록 요소 사이나 블록 요소 안에서 줄 간격을 넓힐 수 있습니다((#br을 블록 요소 바로 다음에 오는 빈 줄 다음, 블록 요소 사이, 블록 요소 바로 다음에 쓰면 그 블록 요소 안의 줄 사이 간격을 넓히게 됩니다.)). |
|---|
| 1600 | | - | #br |
|---|
| 1601 | | - | - 줄 바꾸기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602 | | - | - 줄 바꾸기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03 | | - | |
|---|
| 1604 | | - | *** 첨부 파일·그림 [#p1971296] |
|---|
| 1605 | | - | #ref(첨부 파일 이름) |
|---|
| 1606 | | - | #ref(파일의 URL) |
|---|
| 1607 | | - | 줄머리에 #ref를 쓰면 첨부 파일이나 지정한 URL에 있는 파일로의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파일이 그림일 경우 그 그림을 표시합니다. |
|---|
| 1608 | | - | #br |
|---|
| 1609 | | - | - #ref에 아래와 같은 인수를 쉼표로 나누어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수를 생략하면 기본값이 됩니다. |
|---|
| 1610 | | - | 첨부 파일의 페이지 |
|---|
| 1611 | | - | -- 첨부 파일이 존재하는 페이지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현재 페이지입니다. |
|---|
| 1612 | | - | -- 이 인수는 첨부 파일 이름 다음에 써야 합니다. |
|---|
| 1613 | | - | - |
|---|
| 1614 | | - | left |
|---|
| 1615 | | - | center |
|---|
| 1616 | | - | right |
|---|
| 1617 | | - | -- 링크·그림을 표시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가운데 맞춤입니다. |
|---|
| 1618 | | - | - |
|---|
| 1619 | | - | wrap |
|---|
| 1620 | | - | nowrap |
|---|
| 1621 | | - | -- 링크·그림을 테두리로 둘러싸는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으로는 둘러싸지 않습니다. |
|---|
| 1622 | | - | - |
|---|
| 1623 | | - | around |
|---|
| 1624 | | - | -- 그림 옆에 여러 줄의 글을 쓸 수 있는지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으로는 쓸 수 없습니다. |
|---|
| 1625 | | - | - |
|---|
| 1626 | | - | nolink |
|---|
| 1627 | | - | -- 기본값에서는 첨부 파일로의 링크가 만들어지지만, nolink을 지정하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
|---|
| 1628 | | - | - |
|---|
| 1629 | | - | 대체 문자열 |
|---|
| 1630 | | - | -- 파일이나 그림 대신에 표시할 수 있는 대체 문자열을 지정합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파일 이름이 됩니다. |
|---|
| 1631 | | - | -- 대체 문자열은 문자열이 아닌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 페이지 이름이나 문자열이 아닌 인라인 요소를 쓰더라도 문자열로 다룹니다. |
|---|
| 1632 | | - | -- 이 인수는 마지막에 씁니다. |
|---|
| 1633 | | - | |
|---|
| 1634 | | - | #br |
|---|
| 1635 | | - | -#ref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636 | | - | -#ref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37 | | - | |
|---|
| 1638 | | - | *** 텍스트로 그림 둘러싸기 해제 [#a800a528] |
|---|
| 1639 | | - | #clear |
|---|
| 1640 | | - | 줄머리에 #clear를 쓰면 #ref에서 그림 옆에 여러 줄의 글을 쓸 수 있게 했던 것을 해제합니다. #clear를 지정하지 않아도 글이 끝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됩니다. |
|---|
| 1641 | | - | #br |
|---|
| 1642 | | - | - #clear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643 | | - | - #clear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44 | | - | #img(,clear) |
|---|
| 1645 | | - | ~#clear와 같습니다. |
|---|
| 1646 | | - | |
|---|
| 1647 | | - | *** 양식 [#x23849ca] |
|---|
| 1648 | | - | #comment |
|---|
| 1649 | | - | 줄머리에 #comment를 쓰면 덧글을 넣기 위한 양식이 됩니다. |
|---|
| 1650 | | - | #br |
|---|
| 1651 | | - | - #comment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최상위 수준에서 쓰인다고 가정하고 왼쪽 여백을 설정해 놓았기 때문에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
| 1652 | | - | - #comment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53 | | - | |
|---|
| 1654 | | - | #pcomment |
|---|
| 1655 | | - | 줄머리에 #pcomment를 쓰면 덧글을 넣기 위한 양식이 됩니다. #comment와는 달리 덧글은 다른 페이지에 기록되며, 그 페이지의 글을 요약해서 표시합니다. |
|---|
| 1656 | | - | #br |
|---|
| 1657 | | - | - #pcomment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최상위 수준에서 쓰인다고 가정하고 왼쪽 여백을 설정해 놓았기 때문에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
| 1658 | | - | - #pcomment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59 | | - | |
|---|
| 1660 | | - | #article |
|---|
| 1661 | | - | 줄머리에 #article을 쓰면 간이 게시판 양식이 됩니다. |
|---|
| 1662 | | - | #br |
|---|
| 1663 | | - | - #article은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최상위 수준에서 쓰인다고 가정하고 왼쪽 여백을 설정해 놓았기 때문에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
| 1664 | | - | - #article은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65 | | - | |
|---|
| 1666 | | - | #vote(선택사항1,선택사항2,…) |
|---|
| 1667 | | - | 줄머리에 #vote를 쓰면 간이 투표 양식이 됩니다. |
|---|
| 1668 | | - | #br |
|---|
| 1669 | | - | -선택사항은 문자열 , 페이지 이름 ,InterWiki, 링크를 포함할 수가 있습니다. 그 외의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가 없습니다. |
|---|
| 1670 | | - | - #vote는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최상위 수준에서 쓰인다고 가정하고 왼쪽 여백을 설정해 놓았기 때문에 다른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
| 1671 | | - | - #vote는 다른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72 | | - | **인라인 요소 [#p342f911] |
|---|
| 1673 | | - | - 인라인 요소는 언제나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입니다. |
|---|
| 1674 | | - | -- 줄머리 서식에서 블록 요소를 명시하지 않을 경우 문단의 자식 요소가 됩니다. |
|---|
| 1675 | | - | -- 줄머리 서식에서 블록 요소를 명시했을 경우 지정한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됩니다. |
|---|
| 1676 | | - | - 인라인 요소는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677 | | - | - 인라인 요소는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78 | | - | - 인라인 요소가 되는 플러그인이나 사용자 정의는 &~와 같이 나타냅니다. |
|---|
| 1679 | | - | *** 문자열 [#m0d18dfb] |
|---|
| 1680 | | - | 문자열 |
|---|
| 1681 | | - | 문자열은 인라인 요소입니다. |
|---|
| 1682 | | - | #br |
|---|
| 1683 | | - | - 문자열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684 | | - | - 문자열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685 | | - | |
|---|
| 1686 | | - | ** 인라인 요소 [#l7110f11] |
|---|
| 1687 | | - | - 인라인 요소는 꼭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로 되어 있습니다 |
|---|
| 1688 | | - | -- 줄 처음의 서식으로 블록 요소를 명시 하지 않는 경우는 문단의 자식 요소가 됩니다. |
|---|
| 1689 | | - | -- 줄 처음의 서식으로 블록 요소를 명시한 경우는 지정한 블록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됩니다. |
|---|
| 1690 | | - | |
|---|
| 1691 | | - | - 인라인 요소는 인라인 요소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692 | | - | - 인라인 요소는 블록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
| 1693 | | - | - 인라인 요소가 되는 플러그인 및 유저 정의는 &~ 의 형식입니다. |
|---|
| 1694 | | - | |
|---|
| 1695 | | - | *** 문자열 [#bd24e4ad] |
|---|
| 1696 | | - | 문자열 |
|---|
| 1697 | | - | 문자열은 인라인 요소입니다. |
|---|
| 1698 | | - | |
|---|
| 1699 | | - | - 문자열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00 | | - | - 문자열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01 | | - | |
|---|
| 1702 | | - | *** 줄 바꾸기 [#f383c24f] |
|---|
| 1703 | | - | 인라인 요소~ |
|---|
| 1704 | | - | 줄 끝에 ~를 쓰면 줄이 바뀝니다. 줄 끝에서 줄을 바꾸는 것은 블록 요소 안에서 줄을 바꾸는 것입니다. |
|---|
| 1705 | | - | #br |
|---|
| 1706 | | - | - 줄 끝에서 줄을 바꾸는 것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없습니다. |
|---|
| 1707 | | - | - 줄 끝에서 줄을 바꾸는 것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708 | | - | - 줄 끝에서 줄을 바꾸는 것은 정의 목록의 정의어, 표의 요소, #로 시작하는 블록 요소의 인수 안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 1709 | | - | |
|---|
| 1710 | | - | &br; |
|---|
| 1711 | | - | 줄 안에서 &br;을 쓰면 줄 안에서 줄이 바뀝니다. 줄 끝에서 쓰이는 ~와는 달리 정의 목록의 정의어, 표의 요소, #로 시작하는 블록 요소의 인수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1712 | | - | #br |
|---|
| 1713 | | - | - 줄 안에서 줄을 바꾸는 것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없습니다. |
|---|
| 1714 | | - | - 줄 안에서 줄을 바꾸는 것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715 | | - | |
|---|
| 1716 | | - | *** 강조 [#n38a029f] |
|---|
| 1717 | | - | ''인라인 요소'' |
|---|
| 1718 | | - | 줄 안의 인라인 요소를 '' 사이에 넣으면 강조되어 밑줄 표시가 됩니다. |
|---|
| 1719 | | - | #br |
|---|
| 1720 | | - | - 밑줄쳐져 강조된 요소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21 | | - | - 밑줄쳐져 강조된 요소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22 | | - | |
|---|
| 1723 | | - | '''인라인 요소''' |
|---|
| 1724 | | - | 줄 안의 인라인 요소를 ''' 사이에 넣으면 강조되여 기울여져서(italic) 표시됩니다. |
|---|
| 1725 | | - | #br |
|---|
| 1726 | | - | - 기울여져 강조된 요소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27 | | - | - 기울여져 강조된 요소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28 | | - | |
|---|
| 1729 | | - | *** 글자 크기 [#t513b12d] |
|---|
| 1730 | | - | &size(크기){인라인 요소}; |
|---|
| 1731 | | - | 줄 안에서 &size를 써서 인라인 요소의 글자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크기는 현재의 글자 크기에 대한 비율(%)로 지정합니다. |
|---|
| 1732 | | - | #br |
|---|
| 1733 | | - | - 글자 크기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34 | | - | - 글자 크기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35 | | - | |
|---|
| 1736 | | - | *** 글자색 [#sf40816a] |
|---|
| 1737 | | - | &color(글자색,배경색){인라인 요소}; |
|---|
| 1738 | | - | 줄 안에서 &color를 써서 인라인 요소의 글자색과 배경색을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배경색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
|---|
| 1739 | | - | #br |
|---|
| 1740 | | - | -색의 지정은 , 다음의 몇개의 형식에서 행합니다. |
|---|
| 1741 | | - | -- [[색 키워드]] |
|---|
| 1742 | | - | -- #6자리 16진수 |
|---|
| 1743 | | - | -- #3자리 16진수 |
|---|
| 1744 | | - | - 글자 색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45 | | - | - 글자 색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46 | | - | |
|---|
| 1747 | | - | *** 취소선 [#r81ec79f] |
|---|
| 1748 | | - | %%인라인 요소%% |
|---|
| 1749 | | - | 줄 안의 인라인 요소를 %% 사이에 넣으면 인라인 요소에 취소선이 붙습니다. |
|---|
| 1750 | | - | #br |
|---|
| 1751 | | - | - 취소선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52 | | - | - 취소선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53 | | - | |
|---|
| 1754 | | - | ***주석 [#s21cf12e] |
|---|
| 1755 | | - | ((인라인 요소)) |
|---|
| 1756 | | - | 줄 안에서 인라인 요소를 ((과 )) 사이에 끼우면 주석이 작성되고 줄 안에 주석으로의 링크가 생깁니다. |
|---|
| 1757 | | - | #br |
|---|
| 1758 | | - | - 주석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부모 요소는 주석문이 아니어야 하며, 주석문에서의 링크에 반영됩니다. |
|---|
| 1759 | | - | - 주석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자식 요소는 주석문에 반영됩니다. |
|---|
| 1760 | | - | // &p; |
|---|
| 1761 | | - | //注釈内に&p;を書くと改段落になります ((注釈内改段落は、本来はブロック要素ですが、PukiWikiでは注釈をインラインで記述する ため、インライン要素として記述する必要があります。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はできないことに留意して使用する必要がありま |
|---|
| 1762 | | - | す。))。 |
|---|
| 1763 | | - | //-注釈内改段落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の子要素になることはできません。 |
|---|
| 1764 | | - | //-注釈内改段落は、他のインライン要素を子要素にすることはできません。 |
|---|
| 1765 | | - | |
|---|
| 1766 | | - | *** 첨부 파일·그림 [#v181e939] |
|---|
| 1767 | | - | &ref(첨부 파일 이름); |
|---|
| 1768 | | - | &ref(파일의 URL); |
|---|
| 1769 | | - | 줄 안에서 &ref를 쓰면 첨부 파일이나 지정한 URL에 있는 파일로의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파일이 그림일 경우 그 그림을 표시합니다. |
|---|
| 1770 | | - | #br |
|---|
| 1771 | | - | - &ref에 아래와 같은 인수를 쉼표로 나누어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수를 생략하면 기본값이 됩니다. |
|---|
| 1772 | | - | 첨부 파일의 페이지 |
|---|
| 1773 | | - | -- 첨부 파일이 존재하는 페이지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현재 페이지입니다. |
|---|
| 1774 | | - | -- 이 인수는 첨부 파일 이름 다음에 써야 합니다. |
|---|
| 1775 | | - | - |
|---|
| 1776 | | - | nolink |
|---|
| 1777 | | - | -- 기본값에서는 첨부 파일로의 링크가 만들어지지만, nolink을 지정하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
|---|
| 1778 | | - | - |
|---|
| 1779 | | - | 대체 문자열 |
|---|
| 1780 | | - | -- 파일이나 그림 대신에 표시할 수 있는 대체 문자열을 지정합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파일 이름이 됩니다. |
|---|
| 1781 | | - | -- 대체 문자열은 문자열이 아닌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 페이지 이름이나 문자열이 아닌 인라인 요소를 쓰더라도 문자열로 다룹니다. |
|---|
| 1782 | | - | -- 이 인수는 마지막에 씁니다. |
|---|
| 1783 | | - | |
|---|
| 1784 | | - | #br |
|---|
| 1785 | | - | - &ref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86 | | - | - &ref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787 | | - | |
|---|
| 1788 | | - | *** 루비구조 (루비:일본어에서 한자 위에 붙는 첨자) [#j137cd8e] |
|---|
| 1789 | | - | &ruby(루비){인라인 요소}; |
|---|
| 1790 | | - | 줄 안에서 &ruby를 쓰면 인라인 요소에 대해 루비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루비에 대응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루비가 (와 )에 둘러싸여 표시됩니다. |
|---|
| 1791 | | - | #br |
|---|
| 1792 | | - | - 루비 구조의 루비에는 인라인 요소를 씁니다. 루비의 특성상 기대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 1793 | | - | - 루비 구조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794 | | - | - 루비 구조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795 | | - | - 루비 구조를 루비 구조의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달리 말해 중첩은 불가능합니다. |
|---|
| 1796 | | - | - 주석 안이나 글자 크기를 작게 하는 부분에서 사용하면 루비를 알아볼 수 없게 되니 이를 피해 주십시오. |
|---|
| 1797 | | - | |
|---|
| 1798 | | - | *** 앵커 설정 [#mb297616] |
|---|
| 1799 | | - | &aname(앵커 이름); |
|---|
| 1800 | | - | &aname(앵커 이름){인라인 요소}; |
|---|
| 1801 | | - | 줄 안에서 &aname를 쓰면 링크의 앵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링크를 통해 가도록 지정하고 싶은 곳을 표시합니다. |
|---|
| 1802 | | - | #br |
|---|
| 1803 | | - | - 앵커 이름은 반각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반각 알파벳·숫자·하이픈·밑줄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지정합니다. |
|---|
| 1804 | | - | - 앵커 이름에는 전각 문자나 반각 공백 문자, 반각 기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 1805 | | - | - 앵커 설정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06 | | - | - 앵커 설정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807 | | - | |
|---|
| 1808 | | - | *** 카운터 표시 [#h7beb6ac] |
|---|
| 1809 | | - | &counter; |
|---|
| 1810 | | - | &counter(옵션); |
|---|
| 1811 | | - | 내용에 &counter 를 기술 하면 그 페이지가 보여진 수를 표시 할 수 있습니다. |
|---|
| 1812 | | - | |
|---|
| 1813 | | - | - &counter 에는 다음과 같은 옵션을 지정할수 있습니다.옵션을 생략한 경우에는 all가 지정됩니다. |
|---|
| 1814 | | - | today |
|---|
| 1815 | | - | -- 오늘의 접근한 횟수를 보여줍니다. |
|---|
| 1816 | | - | - |
|---|
| 1817 | | - | yesterday |
|---|
| 1818 | | - | -- 어제 접근한 횟수를 보여줍니다. |
|---|
| 1819 | | - | - |
|---|
| 1820 | | - | all |
|---|
| 1821 | | - | -- 총 접근수를 표시 합니다. |
|---|
| 1822 | | - | - 카운터 표시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23 | | - | - 카운터 표시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824 | | - | |
|---|
| 1825 | | - | *** 온라인 표시 [#ab42f827] |
|---|
| 1826 | | - | &online; |
|---|
| 1827 | | - | 내용 안에서 &online 을 기록 하면 현재 접속 중인 사람수를 표시할수 있습니다. |
|---|
| 1828 | | - | |
|---|
| 1829 | | - | - 온라인 표시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30 | | - | - 온라인 표시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831 | | - | |
|---|
| 1832 | | - | ***버전 표시 [#f09f9e4b] |
|---|
| 1833 | | - | &version; |
|---|
| 1834 | | - | 내용에 &version 을 기록 하면 PukiWiki의 버전을 표시할수 있습니다. |
|---|
| 1835 | | - | |
|---|
| 1836 | | - | - 버전 표시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37 | | - | - 버전 표시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838 | | - | |
|---|
| 1839 | | - | *** WikiName [#u8188184] |
|---|
| 1840 | | - | WikiName |
|---|
| 1841 | | - | 내용에 한개 이상의 대문자→한개 이상의 소문자→한개 이상의 대문자→한개 이상의 소문자의 조합으로 만들어 지는 링크. |
|---|
| 1842 | | - | |
|---|
| 1843 | | - | - WikiName에는 공백문자, 기호, 숫자를 포함 할 수 없습니다. |
|---|
| 1844 | | - | - WikiName은 PukiWiki안의 페이지 이름이 됩니다.이미 존재하는 페이지라면 그 페이지에 링크가 자동적으로 붙게됩니다.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는 WikiName의 뒤에 ?가 자동적으로 붙어 그 페이지를 새로 만들기 위한 링크가 생성됩니다. |
|---|
| 1845 | | - | |
|---|
| 1846 | | - | - WikiName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수 있습니다. |
|---|
| 1847 | | - | - WikiName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수 없습니다. |
|---|
| 1848 | | - | |
|---|
| 1849 | | - | *** 페이지 이름 [#gce935d9] |
|---|
| 1850 | | - | [[페이지 이름]] |
|---|
| 1851 | | - | 줄 안에서 [[와 ]]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페이지 이름이 됩니다. |
|---|
| 1852 | | - | #br |
|---|
| 1853 | | - | - 페이지 이름에는 전각 문자, 기호, 숫자, 반각 공백 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 1854 | | - | - 페이지 이름에는", #, &, <, >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 |
|---|
| 1855 | | - | - 페이지 이름은 이미 있는 페이지이면 그 페이지로의 링크가 자동적으로 붙여지고, 없으면 자동으로 페이지 이름 뒤에 그 페이지를 새로 만들기 위한 링크가 ?로 만들어집니다. |
|---|
| 1856 | | - | - 문장 안에 이미 있는 페이지의 페이지 이름과 같은 문자열이 있으면, 그 페이지 이름의 길이가 8바이트 이상일 경우(반각 문자 8문자, 전각 문자 3문자 이상), [[와 ]]로 둘러싸지 않아도 자동으로 링크가 만들어집니다. |
|---|
| 1857 | | - | |
|---|
| 1858 | | - | #br |
|---|
| 1859 | | - | 페이지 이름 뒤에 앵커 이름을 쓸 수도 있습니다. |
|---|
| 1860 | | - | :| |
|---|
| 1861 | | - | [[페이지 이름#앵커 이름]] |
|---|
| 1862 | | - | |
|---|
| 1863 | | - | #br |
|---|
| 1864 | | - | -페이지 이름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65 | | - | -페이지 이름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866 | | - | |
|---|
| 1867 | | - | *** InterWiki [#g0dec0fe] |
|---|
| 1868 | | - | [[InterWikiName:페이지 이름]] |
|---|
| 1869 | | - | 줄 안에 있는 페이지 이름 형식의 문자열 안에서 :로 2개의 문자열을 구분하면 InterWiki가 됩니다. : 앞에는 InterWikiName을, : 뒤에는 페이지 이름을 씁니다. |
|---|
| 1870 | | - | |
|---|
| 1871 | | - | #br |
|---|
| 1872 | | - | 페이지 이름 뒤에 앵커 이름을 쓸 수도 있습니다. |
|---|
| 1873 | | - | :| |
|---|
| 1874 | | - | [[InterWikiName:페이지 이름#앵커 이름]] |
|---|
| 1875 | | - | |
|---|
| 1876 | | - | #br |
|---|
| 1877 | | - | - InterWikiName에는 전각 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1878 | | - | - InterWikiName에는 반각 공백 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1879 | | - | - InterWiki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80 | | - | - InterWiki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881 | | - | |
|---|
| 1882 | | - | *** 링크 [#bd6593e1] |
|---|
| 1883 | | - | [[링크 이름:URL]] |
|---|
| 1884 | | - | 줄 안에 있는 InterWikiName 형식의 문자열 안에서 : 앞에 임의의 링크명을 : 뒤에 URL을 쓰면 그 링크명으로 URL에 대한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
|---|
| 1885 | | - | #br |
|---|
| 1886 | | - | - 링크 이름에는 전각 문자나 반각 공백 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 1887 | | - | 메일 주소를 지정할 경우 mailto:을 쓰지 않고 주소만 씁니다. |
|---|
| 1888 | | - | http://www.example.com/ |
|---|
| 1889 | | - | https://www.example.com/ |
|---|
| 1890 | | - | ftp://ftp.example.com/ |
|---|
| 1891 | | - | news://news.example.com/ |
|---|
| 1892 | | - | foo@example.com |
|---|
| 1893 | | - | ~줄 안에서 직접 URL을 썼을 경우 자동으로 그 URL에 대한 링크가 만들어집니다. |
|---|
| 1894 | | - | |
|---|
| 1895 | | - | URL이 그림 파일일 경우 그 그림을 표시합니다. |
|---|
| 1896 | | - | #br |
|---|
| 1897 | | - | - 링크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898 | | - | - 링크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899 | | - | |
|---|
| 1900 | | - | *** 별명 [#u1026558] |
|---|
| 1901 | | - | [[별명>페이지 이름]] |
|---|
| 1902 | | - | 줄 안에 있는 페이지 이름 형식의 문자열 안에서 >로 2개의 문자열을 구분하면 별명이 됩니다. > 앞에는 별명을, > 뒤에는 페이지 이름을 씁니다. |
|---|
| 1903 | | - | |
|---|
| 1904 | | - | 별명은 PukiWiki안의 페이지 이름과는 다른 별명으로 지정한 페이지로의 링크를 만듭니다. |
|---|
| 1905 | | - | |
|---|
| 1906 | | - | #br |
|---|
| 1907 | | - | 페이지 이름에 앵커 이름을 덧붙여서 앵커로의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페이지 이름과 앵커 이름의 사이에는 #을 붙입니다. 현재 페이지의 앵커로의 링크를 만드는 경우에는 페이지 이름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
| 1908 | | - | :| |
|---|
| 1909 | | - | [[별명>페이지 이름#앵커 이름]] |
|---|
| 1910 | | - | [[별명>#앵커 이름]] |
|---|
| 1911 | | - | |
|---|
| 1912 | | - | #br |
|---|
| 1913 | | - | 별명을 URL이나 InterWiki와 함께 쓸 수도 있습니다. URL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대신에 :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1914 | | - | :| |
|---|
| 1915 | | - | [[별명>http://www.example.com/]] |
|---|
| 1916 | | - | [[별명>https://www.example.com/]] |
|---|
| 1917 | | - | [[별명>ftp://ftp.example.com/]] |
|---|
| 1918 | | - | [[별명>news://news.example.com/]] |
|---|
| 1919 | | - | [[별명>foo@example.com]] |
|---|
| 1920 | | - | [[별명>InterWikiName:페이지 이름]] |
|---|
| 1921 | | - | [[별명>InterWikiName:페이지 이름#앵커 이름]] |
|---|
| 1922 | | - | :| |
|---|
| 1923 | | - | [[별명:http://www.example.com/]] |
|---|
| 1924 | | - | [[별명:https://www.example.com/]] |
|---|
| 1925 | | - | [[별명:ftp://ftp.example.com/]] |
|---|
| 1926 | | - | [[별명:news://news.example.com/]] |
|---|
| 1927 | | - | [[별명:foo@example.com/]] |
|---|
| 1928 | | - | |
|---|
| 1929 | | - | #br |
|---|
| 1930 | | - | - 별명 안에는 전각 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 1931 | | - | - 별명 안에는 반각 공백 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 1932 | | - | - 계층화된 페이지에서는 페이지 이름을 상대 주소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1933 | | - | - 별명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934 | | - | - 별명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있습니다. |
|---|
| 1935 | | - | ***탭 [#uf377d69] |
|---|
| 1936 | | - | &t; |
|---|
| 1937 | | - | 줄 안에서 &t;라고 쓰면 탭으로 치환됩니다. |
|---|
| 1938 | | - | |
|---|
| 1939 | | - | 보통 브라우저 안에서는 탭을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 없는데((클립보드로부터 붙이넣을 경우에는 탭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탭을 입력하고 싶은 위치에 &t;라고 쓰면 저장할 때에 탭으로 치환합니다. |
|---|
| 1940 | | - | |
|---|
| 1941 | | - | #br |
|---|
| 1942 | | - | - 탭은 글이 저장될 때 치환되어 기록됩니다. |
|---|
| 1943 | | - | - 탭은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944 | | - | - 탭은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945 | | - | *** 페이지 이름 치환 문자 [#md7d8677] |
|---|
| 1946 | | - | &page; |
|---|
| 1947 | | - | &fpage; |
|---|
| 1948 | | - | 줄 안에서 &page;나 &fpage;라고 쓰면 편집 중인 페이지의 이름으로 치환됩니다. |
|---|
| 1949 | | - | |
|---|
| 1950 | | - | 계층화된 페이지의 페이지 이름이 hogehoge/hoge일 경우 &page;는 hoge로, &fpage;는 hogehoge/hoge로 치환됩니다. 계층화되지 않은 페이지에서는 &page;와 &fpage;가 같습니다. |
|---|
| 1951 | | - | |
|---|
| 1952 | | - | #br |
|---|
| 1953 | | - | - 페이지 이름 치환 문자는 글이 저장될 때 치환되어 기록됩니다. |
|---|
| 1954 | | - | - 페이지 이름 치환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955 | | - | - 페이지 이름 치환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956 | | - | |
|---|
| 1957 | | - | *** 날짜 입력 문자 [#f03aaf0a] |
|---|
| 1958 | | - | &date; |
|---|
| 1959 | | - | &time; |
|---|
| 1960 | | - | &now; |
|---|
| 1961 | | - | 줄 안에서 &date;라고 쓰면 고칠 때의 날짜로 치환됩니다. |
|---|
| 1962 | | - | |
|---|
| 1963 | | - | 줄 안에서 &time;라고 쓰면 고칠 때의 시각로 치환됩니다. |
|---|
| 1964 | | - | |
|---|
| 1965 | | - | 줄 안에서 &now;라고 쓰면 고칠 때의 일시로 치환됩니다. |
|---|
| 1966 | | - | - PukiWiki 1.3과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아래와 같이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
|---|
| 1967 | | - | date? |
|---|
| 1968 | | - | time? |
|---|
| 1969 | | - | now? |
|---|
| 1970 | | - | #br |
|---|
| 1971 | | - | - &date;,&time;,&now;는 글이 저장될 때 치환되어 기록됩니다. |
|---|
| 1972 | | - | - &date;,&time;,&now;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973 | | - | - &date;,&time;,&now;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974 | | - | |
|---|
| 1975 | | - | &_date; |
|---|
| 1976 | | - | &_time; |
|---|
| 1977 | | - | &_now; |
|---|
| 1978 | | - | &lastmod; |
|---|
| 1979 | | - | 줄 안에서 &_date;라고 쓰면 표시할 때의 날짜로 치환됩니다. |
|---|
| 1980 | | - | |
|---|
| 1981 | | - | 줄 안에서 &_time;라고 쓰면 표시할 때의 시각으로 치환됩니다. |
|---|
| 1982 | | - | |
|---|
| 1983 | | - | 줄 안에서 &_now;라고 쓰면 표시할 때의 일시로 치환됩니다. |
|---|
| 1984 | | - | |
|---|
| 1985 | | - | 줄 안에서 &lastmod;라고 쓰면 그 페이지의 최종 갱신 일시로 치환됩니다. |
|---|
| 1986 | | - | #br |
|---|
| 1987 | | - | - &_date;, &_time;,&_now;, &lastmod;는 글이 표시될 때 치환되어 표시됩니다. |
|---|
| 1988 | | - | - &_date;, &_time;,&_now;, &lastmod;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1989 | | - | - &_date;, &_time;,&_now;, &lastmod;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1990 | | - | *** 문자 참조 문자 [#q1b53718] |
|---|
| 1991 | | - | ~ 문자 참조를 할 때에는 SGML에서 정의된 문자 참조 문자(&copy;나 &reg; 등) 말고도 아래와 같은 독자적인 문자 참조 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1992 | | - | &heart; |
|---|
| 1993 | | - | 줄 안에서 &heart;라고 쓰면 하트 마크 &heart;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1994 | | - | ☆ |
|---|
| 1995 | | - | 줄 안에서 &star;라고 쓰면 별 마크 ☆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1996 | | - | &free; |
|---|
| 1997 | | - | 줄 안에서 &free;라고 쓰면 프리웨어 마크 &free;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1998 | | - | &share; |
|---|
| 1999 | | - | 줄 안에서 &share;라고 쓰면 쉐어웨어 마크 &share;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00 | | - | &product; |
|---|
| 2001 | | - | 줄 안에서 &product;라고 쓰면 상품 마크 &product;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02 | | - | #br |
|---|
| 2003 | | - | - 문자 참조 문자는 표시될 때 치환됩니다. |
|---|
| 2004 | | - | - 문자 참조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2005 | | - | - 문자 참조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2006 | | - | |
|---|
| 2007 | | - | *** 문자참조문자 [#oc8e0c4c] |
|---|
| 2008 | | - | ~ 문자 참조를 할 때에는 SGML에서 정의된 문자 참조 문자(&copy;나 &reg; 등) 말고도 아래와 같은 독자적인 문자 참조 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2009 | | - | &heart; |
|---|
| 2010 | | - | 줄 안에서 &heart;라고 쓰면 하트 마크 &heart;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11 | | - | ☆ |
|---|
| 2012 | | - | 줄 안에서 &star;라고 쓰면 별 마크 ☆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13 | | - | &free; |
|---|
| 2014 | | - | 줄 안에서 &free;라고 쓰면 프리웨어 마크 &free;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15 | | - | &share; |
|---|
| 2016 | | - | 줄 안에서 &share;라고 쓰면 쉐어웨어 마크 &share;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17 | | - | &product; |
|---|
| 2018 | | - | 줄 안에서 &product;라고 쓰면 상품 마크 &product;로 치환되어 출력됩니다. |
|---|
| 2019 | | - | #br |
|---|
| 2020 | | - | - 문자 참조 문자는 표시될 때 치환됩니다. |
|---|
| 2021 | | - | - 문자 참조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2022 | | - | - 문자 참조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2023 | | - | |
|---|
| 2024 | | - | *** 수치참조문자 [#ibd49862] |
|---|
| 2025 | | - | 
진수; |
|---|
| 2026 | | - | 진수; |
|---|
| 2027 | | - | 줄 안에서 &#와 ;의 사이에 10진수를 쓰거나 &#x와 ;의 사이에 16진수를 쓰면 그 수에 해당되는 Unicode 문자를 찾아서 표시합니다. 직접 키보드로 입력할 수 없는 문자나 외국어, 특수 문자와 같은 것을 나타낼 때 쓸 수 있습니다. |
|---|
| 2028 | | - | |
|---|
| 2029 | | - | 예를 들어 푸키위&#xd0a4;라고 입력하면 푸키위키로 표시됩니다. |
|---|
| 2030 | | - | #br |
|---|
| 2031 | | - | - 수치 참조 문자는 표시될 때 치환됩니다. |
|---|
| 2032 | | - | - 수치 참조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의 자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
| 2033 | | - | - 수치 참조 문자는 다른 인라인 요소를 자식 요소로 할 수 없습니다. |
|---|
| 2034 | | - | - 16진수는 반각 소문자로 지정해야 합니다. (XHTML 1.0 제 2판 부터 소문자로 제한되었습니다.). |
|---|
| 2035 | | - | |
|---|
| 2036 | | - | ** 기타 [#w8d0fa5a] |
|---|
| 2037 | | - | |
|---|
| 2038 | | - | *** 주석 줄 [#fa693c95] |
|---|
| 2039 | | - | // 주석 |
|---|
| 2040 | | - | 줄 처음에 //가 있으면 주석 줄이 됩니다. 주석 줄은 출력되지 않습니다. |
|---|
| 2041 | | - | #br |
|---|
| 2042 | | - | - 주석 줄은 다른 요소와 관계 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줄 단위로 쓸 수 있습니다. |
|---|
| 2043 | | - | - 주석 줄은 앞뒤의 다른 요소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습니다. |
|---|
| 2044 | | - | }} |
|---|
| 2045 | | - | |
|---|